안쓰던 컴퓨터를 NAS로 쓰고 있다가 갑자기 고장이 났습니다. 고장증상은 전원을 넣으면 0.5초 간격으로 전원이 들어왔다가 나가는 것을 반복하는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파워도 바꾸어보고 램도 다시장착해도 동일 증상이 나타나서 메인보드 문제일꺼라 생각해서 메인보드를 살펴보았습니다. 메인보드 커패시터(콘덴서) 교체하기 메인보드를 살펴보니 24핀 주변에 있는 커패시터(콘덴서) 하나가 부풀어 았었습니다. 혹시 이 커패시터가 고장나서 그런가 해서 교체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어차피 단종된 보드에다가 고장나도 크게 상관이 없어서 교체를 해봅니다.커패시터 용량은 1000μF(마이크로 패럿)이며 내압은 6.3V 입니다.때마침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입한 커패시터가 있어서 바로 교체를 해봅니다. 이 커패시터는 1000μF에 ..
윈도우 10에서는 기본설정으로 파일탐색기를 클릭하면 바로가기로 가게되어있습니다. 위 사진처험 파일탐색기를 클릭하게 되면 바로가기로 이어집니다. 이번 시간에는 파일탐색기를 클릭시 바로가기가 아닌 내 PC(내 컴퓨터)로 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파일탐색기 클릭시 내 컴퓨터(내 PC)로 바로가기 파일탐색기에 대한 설정을 하려면 파일탐색기 실행 후 상단에 있는 보기를 클릭합니다. 보기란에서 옵션을 클릭한 후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을 클릭해 줍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판 - 모양 및 개인 설정 - 파일 탐색기 옵션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폴더 옵션 화면이 나타나면 일반 탭에서 파일 탐색기 열기에서 바로가기로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바로가기를 클릭해서 내 PC로 바꾸어 줍니다. 설정을 완료하면 확인..
인텔과 AMD는 CPU 제조사입니다. 인텔이 AMD보다 성능이 좋아서 인기를 끌었지만 AMD에서 라이젠 CPU를 출시하면서 다시 경쟁구도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인텔과 AMD CPU는 제조사가 다르기 때문에 많은 차이가 있는데 오늘은 이 두 CPU의 외관차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컴퓨터 기초] 인텔(INTEL)과 AMD CPU 외관 차이 위 사진에서 왼쪽은 AMD CPU, 오른쪽은 INTEL CPU 입니다. 기본적으로 웟면은 둘이 비슷하게 생겼습니다.인텔 CPU는 AMD와 달리 양옆에 작은 홈이 있습니다. AMD CPU의 외관입니다. 각 모델마다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겠지만 AMD CPU는 대부분 이렿게 생겼습니다. AMD 로고가 적혀있기때문에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각 CPU의 가장 큰 차이점은 C..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모니터,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4K, UHD 모니터나 TV가 나오면서 4K가 무었인지 그리고 UHD가 무었인지 모르는 분도 있을겁니다. [컴퓨터 기초] 모니터 TV 해상도를 알아보자! 4K, UHD, FULL HD 모니터나 TV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입니다. 디스플레이는 픽셀 또는 화소라는 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볼 때는 보이지 않지만 이런 수많은 픽셀들이 모여서 화면을 표시하게 됩니다. 픽셀은 기본적으로 R, G, B(빨강, 초록, 파랑)색의 빛의 삼원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모니터의 화면을 찍은 것입니다. 멀리서 보면 그냥 평범한 화면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사진을 확대해 보면 수많은 픽셀들로 화..
크롬에는 시크릿 모드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면 방문기록, 쿠키, 검색기록 등이 내 컴퓨터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공공장소나 PC방과 같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면 인터넷 사용기록이 남지 않아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롬 시크릿 모드 사용하기 크롬의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크롬을 실행 시킨 후에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새 시크릿 창(I)를 클릭합니다. 단축키로는 Ctrl + Shift + N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외워서 실행하면 빠르고 이게 더 편합니다. 저는 주로 단축키로 시크릿 모드를 실행합니다. 시크릿 모드를 실행하게 되면 크롬의 색이 검은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여기서 평소와 마찬..
크롬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하기 크롬이나 기타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다보면 편의를 위해서 방문기록이나 쿠키를 저장합니다. 하지만 이런 인터넷 사용 기록을 남겨두고 싶지 않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삭제해야합니다. 이번시간에는 크롬 브라우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대부분의 모든 인터넷 브라우저에는 설정항목이 있습니다. 구글 크롬의 경우 좌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설정을 눌러주면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설정화면으로 이동하면 설정 탭에서 아래쪽에 있는 고급 설정 표시를 클릭합니다. 고급 설정 표시를 클릭한 후에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개인정보란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클릭합니다. 인터넷 사용 기록 창이 나타나면 다음 항목 삭제..
크롬 플래시 안됨 문제 해결하기 크롬을 사용하다가 어느순간부터 티스토리의 글쓰기의 사진업로드가 되지않았습니다. 위의 사진처험 플래시가 실행되지 않아서 사진을 압로드할 수가 없습니다. 이처럼 크롬에서 플래시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먼저 크롬을 실행시킨 후에 우측 상단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한 후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화면으로 넘어가면 하단에 있는 고급 설정 표시를 클릭합니다. 개인정보란에 있는 콘텐츠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런화면에 뜨면 스크롤을 아래로 조금 내려줍니다. 플래시 항목에서 사이트에서 Flash를 실행하도록 허용을 눌러줍니다. 위처럼 확인이 되어 있다면 완료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마칩니다. 하지만 저렇게 설정하면 모든 사이트에서 플래시가 실행되므..
[윈도우10]파일 확장자명 보이게하기/숨기기 윈도우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파일의 확장자명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파일의 확장자명이 표시되지 않으면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확장자명을 임의로 바꿀 수없고 바이러스 파일을 무심코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윈도우의 파일 확장자명을 보이게 하거나 숨기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기본적으로 파일의 확장자명을 보이게 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10 기준으로 파일 탐색기를 열어서 상단에 있는 보기 탭을 눌러줍니다. 그럼 바로 파일 확장명이라는 선택란이 있습니다. 클릭하면 바로 파일 확장자명이 보여지게 됩니다. 윈도우10이 아니거나 위의 옵션이 없다면 다른방법으로 파일 확장자명을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옵션을 누른 후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을 클릭해줍니다. 또는 제어..
스팀 게임이 실행되지 않을 때 무결성 검사로 해결하기 스팀으로 다양한 게임들을 구매해서 즐길 수 있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잘 실행되던 스팀 게임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일반적으로 게임이 실행되지 않는 이유는 호환성의 문제도 있겠지만 게임파일이 손상되어서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파일이 손상되어서 게임을 삭제하고 다시 다운 받아야 할까요?스팀에서는 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무결성 검사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무결성 검사를 사용하게 되면 현재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파일을 분석하여 손상된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손상된 파일이 있다면 원래의 게임파일로 바꾸어주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스팀 게임을 다시 깔지 않아도 되고 시간도 아낄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무결성 검사..
CPU 온도확인에서 전압까지 HWMonitor!(하드웨어 모니터링 프로그램) 컴퓨터에 관심이 있다면 컴퓨터의 온도나 전압에 대해 궁금해 집니다. 특히 컴퓨터에서의 높은 온도는 성능을 떨어뜨리고 고장이 날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더 관심이 갑니다. 이번에는 유용한 프로그램을 소개하려 합니다. 바로 HWMonitor라는 프로그램으로서 영어 그대로 하드웨어를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가장 기초적인 CPU의 온도나 전압, 팬의 상태, 파워 사용량, GPU 사용량등 각종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무료이며 프로버전은 유료 프로그램입니다. http://www.cpuid.com/softwares/hwmonitor.html#version-history 위의 링크로 들어가면 공식홈페이지에..
윈도우10 숨김파일/폴더 보이게 하기 윈도우에서는 시스템의 중요한 파일을 실수로 지우지 않기하기위해 파일 숨기기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혹은 사용자가 직접 파일 또는 폴더를 숨길 수가 있죠.하지만 한번 숨기고나서 다시 숨김파일을 보려면 숨김파일을 보이게 설정해야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숨김파일을 다시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파일탐색기를 열어보면 윈도우10 기준으로 상단에 보기탭이 있습니다. 보기탭을 눌러줍니다. 보기 탭을 누르게 되면 위 사진처럼 나타나게 되는데 우측에 숨긴항목을 체크하면 숨긴파일이 나타나게 됩니다. 윈도우10이 아니여서 파일탐색기에 보기탭이 없다면 제어판에 들어가서 모양 및 개인 설정에 들어가줍니다. 모양 및 개인 설정에서 파일탐색기 옵션을 클릭해줍니다. 파일 탐색기 옵션에서 상단의 ..
윈도우 가상메모리 알아보기 및 설정하기 윈도우에는 가상메모리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가상메모리란 보조기억 장치인 하드디스크(HDD)나 SSD의 용량 일부를 RAM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상메모리를 사용하면 리소르를 많으 잡아먹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RAM 용량이 부족해도 속도는 느리겠지만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저사양의 컴퓨터에서 고사양의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실행가능한 것도 가상메모리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가상메모리는 pagefile.sys라는 파일을 생성하는데 용량이 부족한 SSD의 경우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상메모리를 해제해야 합니다. 그럼 이 가상메모리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아봅시다. 내컴퓨터 우클릭 - 속성을 클릭하거나 윈도우 키 + Pause Break를 누르거나 제어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