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의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무선으로 화면을 전송하는 기능인데 미라캐스트라고 불립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보면 화면 미러링, 캐스팅이라고 있는게 바로 미라캐스트입니다. 이런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어도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거의 쓸모없는 기능이였는데 최근에 빔프로젝터를 구매하면서 보니까 윈도우에 미라캐스트 기능인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옵션으로 연결이 가능하더라고요. 윈도우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10이나 11도 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11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하기윈도우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쪽에 무선 디스플레이에 연결 항목이 있습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해줍니..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윈도우에서는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 원인을 어느정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란 일종의 로그 보관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윈도우 실행 중 발생한 각종 이벤트들을 보관하는데 이걸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 실행시작메뉴에 이벤트 뷰어라고 검색하면 이벤트 뷰어를 볼 수 있습니다. 또는 Win + R 키를 누른 후 실행 창에서 "eventvwr"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각종 로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실행하면 로딩이 한 20초 정도 걸립니다. 좌측에 Windows 로그 - 시스템을 클릭하면 윈도우에서 ..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이런저런 이유로 인터넷이 갑자기 안될 때도 있고, 느려질 때도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안되면, 불편한 점이 많아집니다. 이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DNS 캐시를 지워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에 접속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는 DNS 서버에서 IP 주소를 알려주고 이 IP 주소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매번 이 DNS 서버에서 IP주소를 받아오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이 응답받은 IP 주소를 DNS 캐시라는 형태로 따로 저장을 해둡니다. 이렇게 하면 자주가는 사이트의 경우, 굳이 DNS 서버를 거쳐서 IP 주소를 가져오지않고 DNS 캐시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더 빠르게 인터넷을 할 수 있습니..
요즘은 윈도우를 새로설치하면 파일 정렬을 하게되면 정렬 후 또다시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바뀌었더군요. 기본값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오늘, 어제, 이번주, 저번주 초, 지난 달, 올해 초, 오래전 이런식으로 범주를 가지고 정렬을 다시 하게되는데 이게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게 사용자가 직접 만든 파일들은 날짜별로 정리되서 괜찮은데 인터넷이나 USB 등으로 외부 환경에 파일을 받으면, 수정한 날짜가 제각각이라서 다운로드 폴더와 같은 곳에서는 이 정렬기능 때문에 엉망진창으로 정렬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일 탐색기 분류 방법 해제위 사진을 보면 다운로드 폴더를 보면 크기 순으로 정렬을 해도 날짜별로 또 분류가 ..
처음 윈도우 샌드박스를 사용했을 때, 파일을 어떻게 옮겨야하는지 헤맨적이 있습니다. USB 인식도 안되고 다른 가상머신은 드래그&드롭으로 파일을 끌어오면 옮겨졌는데 윈도우 샌드박스는 드래그&드롭도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막상 알고나니 파일을 윈도우 샌드박스로 복사하는 방법은 엄청 쉽습니다. 방법은 바로 그냥 복사 &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예를들면, 파일을 복사하고 싶으면 파일 우클릭 - 복사를 하거나 또는 단축키 Ctrl + C 를 눌러 복사를 해줍니다. 그 다음 윈도우 샌드박스에서 우클릭 - 붙여넣기를 클릭하여 파일을 복사합니다. 또는 단축키 Ctrl + V 를 눌러서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윈도우 센드박스에 파일이 복사가 됩니다. 윈도우 샌드박스로 파일 복사하는 방법이 자주쓰는 복사&붙..
윈도우10에서부터는 윈도우 샌드박스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가상머신인데 이 가상머신에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어서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윈도우안에서 또 윈도우를 실행이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윈도우 샌드박스를 잘 이용하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이기 때문에 샌드박스에서 실행하거나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은 실 윈도우에 영향을 줄 수가 없습니다. 이런 점을 활용하면 의심되는 파일이나 바이러스로 보이는 프로그램같은 건 샌드박스에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윈도우 샌드박스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먼저 설정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 샌드박스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활성화해야지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USB 등 저장장치를 연결하면 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브 문자가 지정됩니다.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 이런식으로 문자가 할당됩니다. 그런데 외장하드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기존 외장하드는 드라이브 문자가 D로 설정되어 있었는데, 어느순간 외장하드가 F드라이브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윈도우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윈도우 하단에 있는 시작 메뉴 우클릭을 하면 위와같이 메뉴가 나옵니다. 시작메뉴 우클릭 - 디스크 관리를 클릭해 줍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실행(단축키 Win + R)에서 dismgmt.msc 를 입력하면 됩니다. 디스크 관리를 클릭하면 디스크 관리 창이 나타납니다. 드라이브 문자 ..
윈도우 11과 10에서는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항목을 보면 디스플레이 배율 설정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4K 모니터와 같이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가 나오면서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화면에서 글씨나 UI 등의 메뉴가 작아져서 보기힘든데 이렇게 배율을 설정하면 배율만큼 화면이 커지게 되어서 보기가 편해집니다. 디스플레이가 여러개이고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배율이 설정되어 있다면 프로그램을 다른화면으로 옮길 때마다 크기가 바뀌는데 문제는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이 디스플레이 배율 설정이 먹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은 4K 모니터에서 REAPER 라는 DAW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진입니다. 4K 모니터로 프로그램을 옮겼는데 배율이 적용되지 않아서 글씨나 UI가 매우 작게 표시되어 4K 모니터에서 보..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인 명령 프롬프트(CMD), 파워쉘(PowerShell) 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끔씩만 사용한다면 큰 불편함이 없겠지만 자주 사용한다면 불편한게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명령어 복사 붙여넣기가 번거롭거나 여러개를 띄우면 보기불편하다는가 하는 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프로그램이 바로 Windwos 터미널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10에서는 별도로 설치해야 했었는데 윈도우11에서는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었습니다. Get Windows Terminal from the Microsoft Store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과 같은 명령 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의 빠르고 효율적이며 강력한 생산성의 터미널 응용 프로..
터치가 지원되는 모니터가 흔하지는 않지만 제가 쓰고있는 휴대용 모니터인 제우스랩 Z15ST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모니터입니다. 윈도우에서 모니터를 복제모드로 쓸 때는 상관이 없는데 터치가 되는 모니터를 확장용으로 쓸 때, 터치입력이 다른 모니터(다른 화면)에 입력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터치가 안되는 모니터1, 터치가 되는 모니터2가 확장모드로 각각 다른 화면이 나오고 있을 때, 모니터2에서 터치를 하면 모니터1 화면에서 터치 입력이 들어갑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터치 모니터를 지정해 주면 해결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윈도우11 모두 적용이 가능합니다. 태블릿 PC 설정 먼저 제어판을 검색해서 제어판에 들어가 줍니다. 제어..
큰 모니터와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 커서가 어디에 있는지 한참을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11에서 마우스 커서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윈도우11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10도 설정하는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따라 하면 마우스 커서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의 설정 앱 실행 먼저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검색하여 설정 앱을 실행하거나 단축키 Win + I 를 입력하여 설정 앱을 실행해 줍니다. 설정 앱을 실행하였다면 좌측에 접근성 항목을 클릭해 줍니다. 접근성 메뉴 이동 접근성을 클릭하였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접근성에서 시각 - 마우스 포인터 및 터치를 클릭합니다. 마우스 커서 크기 변경 마우스 포인터 및 터치 ..
최근 노트북으로 4K 모니터를 하나로 추가로 연결하여 듀얼모니터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유튜브나 트위치같이 동영상을 재생하면 프레임이 드랍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사용환경은 다음과 같다. CPU: i7 9750H GPU: 내장 UHD 630, 외장 RTX2060 모니터: 내장그래픽 - FHD, 144Hz(노트북 내장모니터), 외장그래픽 - 4K, 60Hz 모니터 디스플레이 모드: 디스플레이 확장 위의 구성으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4K 해상도 출력 및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는 사양인데 크롬으로만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였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노트북의 내장모니터로 동영상을 재생하면 동영상이 끊기지 않고 부드럽게 재생되고 외장그래픽으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