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배그를 하는데 렉이 너무 걸립니다. 2017년에 나온 게임인데 패치를 할수록 사양이 올라가서 이제는 요즘 나오는 CPU로는 배그를 돌리기 힘들어졌습니다. 최적화가 참 좋지않은 게임입니다. 배그 플레이시 CPU 사용률 100%가 되고, GPU 사용률은 50~60%를 왔다갔다거리는데 조작을 해보면 뚝뚝 끊기는 느낌이 납니다. 특히 조준하는 순간에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합니다. 사람이 많이 있는 곳은 최적화가 별로라서 끊기는건 이해하겠는데 사녹같은 좁은 맵에서도 뚝뚝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하니 게임할 맛이 안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옵션을 살펴보고 만져보면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를 활성화하니 스터터링도 거의 사라지고 프레임도 올라갔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는 다음과 같이..
요즘 대부분의 블랙박스는 전방, 후방 2채널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번 글에서 블랙박스 후방카메라 영상을 보는 법을 작성하였는데 이번 글에서는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이 하나로 합쳐져 있는 영상을 분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전방과 후방카메라 영상을 분리하려면 동영상 인코딩을 해야합니다. 동영상 인코딩을 위해서는 오픈소스인 ffmpeg를 사용하는데 이건 CLI 기반이라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서 사용하는거라 일반인들이 사용하기는 매우어려워서 ffmpeg 기반으로 만들어진 GUI 방식의 별도의 동영상 인코더를 주로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동영상을 인코딩하고 싶다면 샤나인코더를 추천합니다. 국산 프로그램이라서 프로그램도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고 프로그램도 가벼워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
지인이 운전 중에 고라니를 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려는데 전방 블랙박스 카메라 각도가 하늘을 쳐다보고 있어서 전방카메라 영상으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후방 카메라 영상이 필요해졌습니다. 하지만 블랙박스 SD 카드에 저장된 파일들을 보면 전방 카메라 영상 파일밖에 없습니다. 처음에는 전방 카메라만 녹화되게 설정이 되어있나 생각했었습니다.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정보를 확인해 보니 파일에 동영상 2개가 저장이 되어 있었습니다. 블랙박스 영상이 AVI 파일에 전방 영상과 후방영상, 그리고 오디오 파일이 담겨져 있습니다. 즉, AVI 파일에 전방카메라 영상이 1번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면 전방 카메라 영상만 표시되는 것이였습니다. 아무튼 후방카메라 영상을 보려..
요즘 HDR 영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HDR 영상은 High Dynamic Range의 약자인데 기존의 SDR(Standard Dynamic Range)보다 더 넓은 명암을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서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표현해서 진짜 사실같은 명암을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끔씩 HDR 영상을 재생할 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HDR 영상을 보면 물빠진 색감처럼 보입니다. 이는 HDR을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라서 그런데, HDR 지원 모니터와 그에 맞는 동영상 플레이어 등 HDR을 지원하는 환경이라면 HDR 영상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대부분은 HDR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HDR영상을 보면 물빠진 색감처럼 보입니다. 그럼 HDR 영상을 지원되지 않는 기기에..
공인인증서.. 인터넷 뱅킹이나 주민등록등본이나 각종 민원업무를 처리할 때 한국 한정으로 거의 반드시 사용되는 인증파일입니다. 최근 공인인증서가 공동인증서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발급받거나 이동할 때, 또는 인증할 때 각종보안프로그램 설치에 오류가 난무하고 느려서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내 컴퓨터의 공인인증서 위치를 알고 있다면 일일히 은행사이트 접속해서 보안프로그램 깔고 인증서 내보내기 누르고 인증번호 입력하고 하는 쓸데없는 과정없이 단순히 파일 복사로 손쉽게 인증서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가 저장되는 폴더의 이름은 NPKI입니다. 우선 인증서 위치는 C:\Users\유저명\AppData\LocalLow\NPKI 입니다. 첫번째로 내 PC에서 C드라이브를 클릭해 줍니다. C드라이브에서 사용자..
게임에서의 초당 프레임(FPS)는 반응속도와 게임 플레이시의 부드러움에 밀접한 관계과 있습니다. 프레임이 낯으면 렉걸린것과 같이 답답하고 짜증나고 프레임이 높으면 모니터 주사율이 받쳐주면 그만큼 부드럽고 편안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따면 지포스 익스피리언스(Gefroce Experience)의 오버레이 기능에서 FPS 계측기를 활성화하면 게임의 초당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드래도 엔비디아 그래픽카드가 아니거나 기타 등등의 이유로 프레임을 볼 수 없다면 스팀의 자체기능으로 FPS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게임 중일때와 게임 중이 아닐때 둘 다 설정이 가능합니다 . 먼저 게임 중이 아니라면 스팀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Steam - 설정을 클..
팟플레이어는 동영상 재생시 기본 소리출력 설정이 2채널로 되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상관이 없지만 사용하는 환경이 5.1채널 또는 7.1채널의 스피커를 사용하거나 헤드셋/헤드폰을 사용한다면 소리 출력채널을 변경해야 완전한 5.1채널이나 7.1채널을 들을 수 있습니다. 비싼 돈 주고 5.1/7.1 채널 스피커나 헤드셋을 샀는데 2채널로만 들으면 아까우니까요. 팟플레이어에서 우클릭 - 환경설정을 들어가줍니다. 또는 단축키 F5를 누르면 바로 환경설정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에서 좌측에 소리 탭을 클릭해 줍니다. 출력채널에서 자신에게 맞는 채널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7.1채널 헤드셋을 사용하고 있으니 3/2/2 + LFE - 7.1 채널을 선택했습니다. 팟플레이어에서 8(7.1)채널을 지..
요즘은 유튜브로 영상을 보는 가장 흔한 방법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유튜브 사용자도 많습니다. 게다가 유튜브에 노래 뮤직비디오나 노래도 많이 올라와있어서 자주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유튜브를 통해서 노래를 듣다보면 반복 재생(무한 반복)이 되지 않아서 다 들으면 다시 처음으로 돌려들어야 합니다. 노래를 듣거나 계속 보고 싶은 영상이 있을 때 편리한 기능인 반복 재생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튜브(YouTube) 반복 재생(무한 반복)하기 원래는 유튜브 반복 재생 기능이 없었지만 작년 부터 반복 재생 기능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유튜브 내에서 반복재생을 설정하는 방법과 반복 재생을 가능하게 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한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 2가지 방법 모두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가장 먼..
크롬을 사용해보면 파일을 다운로드해보면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기본적으로 저장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처럼 다운로드할 때 일일이 폴더를 설정하지 않아도 편합니다. 하지만 다운로드할 파일의 용량이 크거나 다른 이유로 다른 곳에 저장하고 싶을 때는 설정을 바꿔줘야지 다른위치에 저장이 가능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다운로드 다운로드 폴더 변경/설정하기 먼저 설정을 변경하기위해 당연히 설정을 클릭합니다. 우측 상단에서 점 세개 아이콘 클릭 후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 아래로 내려줍니다. 고급 버튼이 있습니다. 고급을 클릭해 줍니다. 고급에서 밑으로 내리다 보면 다운로드 항목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다운로드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다운로드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화면 캡처 프로그램은 많이 존재합니다. 가장 간단한 윈도우의 캡처 도구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캡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현제 제가 쓰고 있는 캡처 프로그램인 픽픽 에디터를 소개합니다. 화면 캡처 프로그램 픽픽 PickPick http://ngwin.com/kr 픽픽은 완전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무료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과 여러가지 캡처기능이 있어 사용하기 좋습니다. 위 링크로 들어가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픽픽의 홈화면 입니다. 각종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캡처부터 시작해서 각도기, 자, 색상 추출 도구등 많은 도구가 있습니다. 캡처의 경우 전체화면 캡처, 활성화된 윈도우 캡처, 윈도우 컨트롤 캡처, 자동 스크롤 캡처, 영역을 지정하여 캐처, 고정된 사각 영역 ..
최근에 4K 영상이 늘어나면서 유튜브도 4K 영상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유튜브를 들어가면 영상 제목에 4K라고 적혀있는데도 4K 설정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왜 4K 설정이 안될까 인터넷으로 해결법을 찾다가 의문점을 해결했습니다. 해결방법은 바로 크롬브라우저를 사용해라 입니다. 유튜브 4K로 보기 위 사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8K 60fps를 지원하는 영상이지만 품질에 들어가보면 1080P60 밖에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크롬 브라우저로 들어가보면 4K, 8K 60fps를 완전히 지원합니다. https://www.youtube.com/html5 위 주소로 들어가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무었을 지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들어가보면..
크롬에는 시크릿 모드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면 방문기록, 쿠키, 검색기록 등이 내 컴퓨터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공공장소나 PC방과 같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면 인터넷 사용기록이 남지 않아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롬 시크릿 모드 사용하기 크롬의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크롬을 실행 시킨 후에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새 시크릿 창(I)를 클릭합니다. 단축키로는 Ctrl + Shift + N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외워서 실행하면 빠르고 이게 더 편합니다. 저는 주로 단축키로 시크릿 모드를 실행합니다. 시크릿 모드를 실행하게 되면 크롬의 색이 검은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여기서 평소와 마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