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의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무선으로 화면을 전송하는 기능인데 미라캐스트라고 불립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보면 화면 미러링, 캐스팅이라고 있는게 바로 미라캐스트입니다. 이런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어도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거의 쓸모없는 기능이였는데 최근에 빔프로젝터를 구매하면서 보니까 윈도우에 미라캐스트 기능인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옵션으로 연결이 가능하더라고요. 윈도우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10이나 11도 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11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하기윈도우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쪽에 무선 디스플레이에 연결 항목이 있습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해줍니..
윈도우에는 마우스에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윈도우7에서도 이 옵션이 존재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이 옵션이 무슨 옵션이냐면,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는 우리가 설정한 DPI 수치만큼 움직입니다. 그런데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켜져있으면 마우스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움직일 때 가속도에 따라 마우스 커서 이동거리를 늘려버립니다.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인데 실제로 마우스를 잡고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때,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움직인거랑 순간적으로 빠르게 마우스를 잡고 이동한 거랑 마우스 커서 위치를 비교하면 순간적으로 이동했을 때가 마우스 커서가 더 멀리 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FPS와 같이 에임이 중요한 게임같은 경우에는 마우스 가속에 따라 이동거리가 달..
유튜브에서는 영상 탐색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원하는 장면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동영상을 빠르게 넘기거나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이 썸네일 미리보기가 나름 유용한데요. 그러나 팟플레이어에서는 이 기능을 지원함에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탐색바 미리보기 설정하기먼저 팟플레이어 환경설정 창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클릭으로 환경 설정 메뉴를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뜹니다. 환경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에 재생 메뉴를 클릭한 다음, "탐색바에 마우스 위치 시 썸네일 표시" 옵션을 클릭하여 활성화 해줍니다. 그러면 팟플레이어에서도 유튜브처럼 재생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오래전에 쿠팡에서 구입한 타블렛 거치대인데 태블릿을 거치하면 각도를 조절해도 중력에 의해서 계속 조금씩 흘러내리는 증상이 생겼습니다. 각도조절 부분을 보면 카메라 삼각대처럼 볼헤드에 플라스틱 너트를 조여서 마찰력을 높여서 태블릿을 고정하는 방식인데, 너트를 손으로 풀기 힘들 정도로 조여도 태블릿이 자꾸 흘러내립니다. 그래서 태블릿 홀더쪽에 접착력이 강한걸 붙이면 될 거 같아서 여러가지 시도해봤습니다. 처음에는 양면테이프를 안쪽에 붙여봤는데 양면테이프가 떨어져서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글루건을 쏴서 붙여보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글루건을 적당량 도포한다음에 글루건이 아직 완전히 굳지 않았을 때, 볼헤드를 끼웠다 빼서 모양을 만들어주고 글루건이 굳을 때까지 기다려주면 끝입니다. 글루건을 붙이니..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재생 시 대화나 말소리가 작게 들려서 불편한 경험이 있을텐데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팟플레이어 설정이 잘못되어있거나 특정 설정을 적용한다면 대화같은 말소리를 키울 수 있습니다. 1. 팟플레이어 소리 출력채널 확인우선 가장 먼저 확인해볼 설정은 출력 채널 설정입니다. 보통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스피커가 2개인 2.0 채널인 스테레오를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자신의 스피커 시스템이 5.1 채널이거나 7.1 채널이면 그에 맞는 채널을 선택하면 되는데, 2.0 채널인데 5.1 채널이나 7.1 채널이 선택되었다면 자신에게 맞는 채널로 변경해 주세요.스피커 채널이 맞지 않으면 배경소리만 들리고 대화소리는 아주 작게 나오게 됩니다. 2. 노멀라이저 사용하기다음으로는 노멀라이저 사용입니다...
저는 윈도우 동영상 플레이어로 팟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몇몇 영상들을 재생해보면 소리가 작아서 볼륨을 더 올리고 싶은데 이미 볼륨이 최대로 되어 있어서 올리지 못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이럴 경우에는 노말라이저같은 기능을 사용해도 되지만, 노말라이저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볼륨 최대값을 변경해서 볼륨을 더 올릴 수 있습니다. 팟플레이어 설정 (단축키:F5)에 들어가서 소리 - 볼륨 조절 설정에 들어가보면 볼륨 최대값이라는 항목이 되어 있습니다. 볼륨 최대값을 100~200 사이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200이상으로는 설정이 되지 않습니다. 기존 최대값 100에서 200으로 변경해준 다음에 확인이나 적용을 눌러서 값을 저장해줍니다. 그러면 기존에 음량이 100% 밖에 안올라갔었..
윈도우10에서는 작업표시줄 시계를 클릭하면 달력과 함께 시계에 초가 표시되어서 유용하게 썼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표시되지 않더라고요. 윈도우10을 쓸 때는 초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했는데 윈도우11에서는 초를 못보니까 은근히 불편합니다. 특히 수강신청이나 인터넷 예매같은 1초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초 표시가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위 사진처럼 윈도우10에서는 저렇게 시계를 눌러서 시, 분, 초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더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윈도우11 초기빌드에서는 초 표시 옵션이 없었지만 윈도우11이 업데이트되면서 초 표시 옵션이 생겼습니다. 기존 윈도우10 처럼 달력에서 표시되는게 아니라 작업표시줄 시계에서 상시로 초가 표시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초를 못..
컴퓨터로 동영상을 보다보면 동영상 화면이 너무 어두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HDR 영상을 SDR로 실시간으로 변환해서 볼 때, 어두운 장면이 잘안보여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밝기조절을 통해서 밝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영화나 HDR 영상을 볼 때, 위에 처럼 어두운 화면을 보면 뭐가 있는지 잘 안보일 때가 있습니다. 보통은 모니터 자체적인 감마값을 조절하거나 윈도우에서 감마 값을 조절해서 밝기를 올려도 되지만 이렇게 직접 감마값을 바꾸기에는 귀찮아서 바꾸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영상 조절을 통해서 밝기, 대비, 채도등을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밝기를 올려서 어두운 영상도 편안하게 볼 수가..
요즘은 윈도우를 새로설치하면 파일 정렬을 하게되면 정렬 후 또다시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바뀌었더군요. 기본값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오늘, 어제, 이번주, 저번주 초, 지난 달, 올해 초, 오래전 이런식으로 범주를 가지고 정렬을 다시 하게되는데 이게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게 사용자가 직접 만든 파일들은 날짜별로 정리되서 괜찮은데 인터넷이나 USB 등으로 외부 환경에 파일을 받으면, 수정한 날짜가 제각각이라서 다운로드 폴더와 같은 곳에서는 이 정렬기능 때문에 엉망진창으로 정렬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일 탐색기 분류 방법 해제위 사진을 보면 다운로드 폴더를 보면 크기 순으로 정렬을 해도 날짜별로 또 분류가 ..
처음 윈도우 샌드박스를 사용했을 때, 파일을 어떻게 옮겨야하는지 헤맨적이 있습니다. USB 인식도 안되고 다른 가상머신은 드래그&드롭으로 파일을 끌어오면 옮겨졌는데 윈도우 샌드박스는 드래그&드롭도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막상 알고나니 파일을 윈도우 샌드박스로 복사하는 방법은 엄청 쉽습니다. 방법은 바로 그냥 복사 &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예를들면, 파일을 복사하고 싶으면 파일 우클릭 - 복사를 하거나 또는 단축키 Ctrl + C 를 눌러 복사를 해줍니다. 그 다음 윈도우 샌드박스에서 우클릭 - 붙여넣기를 클릭하여 파일을 복사합니다. 또는 단축키 Ctrl + V 를 눌러서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윈도우 센드박스에 파일이 복사가 됩니다. 윈도우 샌드박스로 파일 복사하는 방법이 자주쓰는 복사&붙..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통신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로 연결됩니다. DNS란 Domain Name Sytem의 약자로서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형식의 인터넷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안 등의 이유라든가 사용 중인 DNS가 잘 작동하지 않던지 등의 이유로 DNS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DNS를 바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크롬 사용시에만 별도로 지정한 DNS 주소를 사용하게 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법은 간단한데 크롬 설정에서 몇가지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 보안 DNS 사용하기 우선 크롬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줍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 개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클릭해 주면 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에 있는 개인 ..
가끔씩 JSON파일이나 다른 파일들을 열어보면 가끔씩 정렬이 되어있지 않아서 알아보기 힘든 피일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JSON 파일을 열었는데 들여쓰기나 뛰어쓰기, 줄바꿈이 되어있지 않아 가독성이 매우떨어지고 보기도 불편합니다. 이렇게 보기힘든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문서 서식 옵션으로 예쁘고 보기편하게 정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서 서식(Format Document) 옵션으로 파일을 정렬하기 문서 서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어 모드(Language Mode)가 JSON, HTML, JavaScript, TypeScript, CSS 중 하나여야 합니다. 파일에 맞는 언어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위 경우에는 JSON 파일이라서 JSON을 선택해 주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마우스 우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