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유명한 게임 플랫폼인 스팀. 요즘 게임들은 스팀으로 출시해서 대부분은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됩니다.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되면 게임내에 스팀 오버레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기본적으로 스팀 오버레이는 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스팀을 통해 실행된 게임은 키보드 Shift + Tab 키를 누르게 되면 스팀 오버레이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위 사진은 실제로 게임에서 Shift + Tab 키를 눌러서 스팀오버레이를 표시한 사진입니다. 이러한 스팀 오버레이를 사용하면 굳이 바탕화면에 나가지 않고 여러가지 스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되어서 편리합니다. 예시로 FPS 표시라든가, 게임패드 설정변경, 친구목록 확인, 도전과제, 창작마당, 게임 녹화 등 스팀 기능을 게임 내에..
NAS를 사용하다보면 FTP, WEBDAV를 이용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파일을 탐색하게 되는데요. 특히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NAS에 저장하고 외부에서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동영상의 경우 팟플레이어로 보는게 깔끔하고 자막도 잘지원해서 이걸로 보고 싶은데요. 팟플레이어에서는 FTP, WebDAV, HTTP 프로토콜 연결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FTP, WebDAV,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면 팟플레이어로 쉽게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우선 팟플레이어의 재생목록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측하단에 재생목록 메뉴가 있습니다. 누르면 옆으로 재생목록이 나타납니다. 재생목록 위쪽에 +새 앨범 이라고 적혀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눌러서 새 앨범을 만들어줍니다. 아니면 재생목록에 마우스 우클릭 - 앨..
윈도우의 돌비 액세스 앱을 아시나요? 윈도우에서 헤드폰 사용시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을 적용시켜 스테레오 헤드폰에서 공간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앱입니다. 헤드폰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료로 결제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2020년도에 결제해서 가끔씩 사용하는데 이어폰이나 헤드폰 사용할 때, 설정하면 나름 괜찮은 것 같더라고요. 활성화하면 노멀라이즈도 되는지 작은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Dolby Access 설치https://apps.microsoft.com/detail/9n0866fs04w8?hl=ko-KR&gl=KR Dolby Access - Windows에서 무료 다운로드 및 설치 | Microsoft StoreDolby Access를 다운로드하여 헤드폰용 Dolby Atmos 무료 체험..
유튜브에서는 영상 탐색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원하는 장면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동영상을 빠르게 넘기거나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이 썸네일 미리보기가 나름 유용한데요. 그러나 팟플레이어에서는 이 기능을 지원함에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탐색바 미리보기 설정하기먼저 팟플레이어 환경설정 창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클릭으로 환경 설정 메뉴를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뜹니다. 환경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에 재생 메뉴를 클릭한 다음, "탐색바에 마우스 위치 시 썸네일 표시" 옵션을 클릭하여 활성화 해줍니다. 그러면 팟플레이어에서도 유튜브처럼 재생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디스코드의 기본 설치 경로는 어디일까요? 음성채팅 프로그램인 디스코드를 사용하다보면 가끔씩 디스코드에서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재부팅이나 재설치를 하면 문제가 해결이 되지만 재설치 시에도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디스코드가 설치되었던 폴더를 삭제해야 합니다. 일단 디스코드 설치 위치부터 말하자면 디스코드의 설치 위치는 2개입니다. C:\Users\사용자 명\AppData\Local\DiscordC:\Users\사용자 명\AppData\Roaming\discord Appdata/Local/Discord 폴더는 디스코드가 설치되어있는 폴더이고 Appdata/Roaming/dsicord 폴더는 디스코드의 임시파일이나 설정값이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아..
PC에서 카카오톡을 보는데 QHD나 고해상도 모니터를 사용하거나 화면이 작은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다면 카카오톡 화면과 글자가 작아서 불편합니다. 그래서 화면을 키워서 편하게 보는 설정이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카카오톡 PC 버전의 화면 크기를 키울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PC 버전을 보면 왼쪽 하단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이 있습니다. 이 설정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메뉴 중에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설정에서 화면 메뉴에 보면 화면 배율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배율 선택하면 됩니다. 시스템 기본배율 (100%), 100%, 125%, 150%, 200%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카카오톡 화면이 작아서 불편했다면 위 방법으로 화면을 키워보시기 바..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재생 시 대화나 말소리가 작게 들려서 불편한 경험이 있을텐데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팟플레이어 설정이 잘못되어있거나 특정 설정을 적용한다면 대화같은 말소리를 키울 수 있습니다. 1. 팟플레이어 소리 출력채널 확인우선 가장 먼저 확인해볼 설정은 출력 채널 설정입니다. 보통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스피커가 2개인 2.0 채널인 스테레오를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자신의 스피커 시스템이 5.1 채널이거나 7.1 채널이면 그에 맞는 채널을 선택하면 되는데, 2.0 채널인데 5.1 채널이나 7.1 채널이 선택되었다면 자신에게 맞는 채널로 변경해 주세요.스피커 채널이 맞지 않으면 배경소리만 들리고 대화소리는 아주 작게 나오게 됩니다. 2. 노멀라이저 사용하기다음으로는 노멀라이저 사용입니다...
인터넷으로 방송을 하거나 영상을 녹화할 때, OBS 스튜디오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합니다. OBS는 기본적으로 ASIO 장치 캡처를 지원하지 않고 윈도우버전에서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캡쳐 방식으로 오디오 장치를 캡처합니다. 만약에 ASIO를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소유하고 있다면 지연시간이 매우 짧은 ASIO 방식으로 오디오를 받고 싶을 경우가 있을 겁니다. 그래서 OBS 스튜디오에서 ASIO로 오디오를 입력받거나 출력하고 싶다면 obs-asio 플러그인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OBS 스튜디오에서 ASIO 방식으로 오디오를 캡쳐할 수 있게 됩니다. GitHub - Andersama/obs-asio: ASIO plugin for OBS-StudioASIO plugin for OBS-Studio..
저는 윈도우 동영상 플레이어로 팟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몇몇 영상들을 재생해보면 소리가 작아서 볼륨을 더 올리고 싶은데 이미 볼륨이 최대로 되어 있어서 올리지 못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이럴 경우에는 노말라이저같은 기능을 사용해도 되지만, 노말라이저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볼륨 최대값을 변경해서 볼륨을 더 올릴 수 있습니다. 팟플레이어 설정 (단축키:F5)에 들어가서 소리 - 볼륨 조절 설정에 들어가보면 볼륨 최대값이라는 항목이 되어 있습니다. 볼륨 최대값을 100~200 사이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200이상으로는 설정이 되지 않습니다. 기존 최대값 100에서 200으로 변경해준 다음에 확인이나 적용을 눌러서 값을 저장해줍니다. 그러면 기존에 음량이 100% 밖에 안올라갔었..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인터넷 브라우저에 쿠키라는 파일들이 쌓이게 됩니다. 보통 자동 로그인이나 로그인 유지 같은 로그인 관련 기능을 위해 쿠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요. 이런 쿠키를 지우기 위해서 크롬에서 인터넷 사용기록에서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이렇게 하면 특정 기간 또는 모든 쿠기 및 사이트 데이터가 지워지기 때문에 기껏 자동로그인 되어있던 사이트들의 로그인이 풀려서 다시 로그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크롬에서 특정 사이트의 쿠키나 데이터를 지우고 싶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크롬 설정 들어가기크롬 실행 후 우측 상단에 점 3개 아이콘을 클릭해서 메뉴를 열어줍니다.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면 크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크롬 설정 페이지에서..
컴퓨터로 동영상을 보다보면 동영상 화면이 너무 어두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HDR 영상을 SDR로 실시간으로 변환해서 볼 때, 어두운 장면이 잘안보여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밝기조절을 통해서 밝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영화나 HDR 영상을 볼 때, 위에 처럼 어두운 화면을 보면 뭐가 있는지 잘 안보일 때가 있습니다. 보통은 모니터 자체적인 감마값을 조절하거나 윈도우에서 감마 값을 조절해서 밝기를 올려도 되지만 이렇게 직접 감마값을 바꾸기에는 귀찮아서 바꾸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영상 조절을 통해서 밝기, 대비, 채도등을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밝기를 올려서 어두운 영상도 편안하게 볼 수가..
디스코드(Discord) 설치 후 실행해 보면 윈도우 시작시 디스코드도 자동으로 시작하는 것이 기본값으로 되어있습니다. 디스코드를 항상 사용하면 모르겠는데 가끔씩 사용하는데 계속 윈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시작되는게 꽤 불편합니다. 다행히도 디스코드 설정에 자동시작을 끄는 옵션이 존재합니다. 디스코드 자동시작 끄기디스코드 설정을 하기위해서 좌측하단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좌측에 메뉴 목록에서 밑으로 스크롤하면 Windows 설정 메뉴가 있습니다. Windows 설정 메뉴 클릭 후 우측에서 Discord 열기 항목을 비활성화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디스코드가 실행되지 않게 됩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