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이나 엣지같은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저는 그래픽 가속(=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드웨어 가속기능이란 주로 동영상이나 3D 관련 작업을 전용 하드웨어가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설명이 어렵게 들릴 수 있는데 동영상을 예로들면 동영상을 재생하려면 디코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디코딩이라는 과정이 사실은 굉장히 복잡한 계산인데 이걸 하드웨어 가속으로 처리하면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드웨어 가속은 실제 하드웨어에서 회로수준에서 디코딩을 바로 처리할 수 있게 설계를 했기 떄문입니다. 실제로 그래픽카드나 내장그래픽에는 별도의 동영상 디코딩, 인코딩 칩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요즘 4K 영상이나 8K 영상을 재생해보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면 별 문제없이 재생되지만 하..
팟플레이어를 설치하고나면 기본 설정으로 노멀라이저가 적용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노말라이저란 소리를 적정레벨로 키워주거나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면, 소리가 작게 녹음된 파일을 노말라이저를 해제하고 들으면 그대로 작게 들리지만, 노말라이저를 사용하게 되면 소리를 크게 증폭시켜주어서 별도로 볼륨조절을 하지않아도 적당하게 들리게 됩니다. 영화같은 영상을 볼 때, 대화소리가 작게 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노말라이저를 켜면 잘 들리게 됩니다. 이 노멀라이저 기능은 유용한 기능이긴하지만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스피커로 들으면 크게 불편하지는 않지만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소리를 들으면 화이트 노이즈가 들리기도하고, 영상마다 소리 크기가 달라서 불편합니다.그래서 노멀라이저를 끄고 사용하는 편입니다...
음성 채팅으로 순식간에 유명해진 프로그램인 디스코드(Discord), 그런데 디스코드가 업데이트가 된 후에 실행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디스코드를 실행하면 위 사진처럼 로딩이 되면서 실행이 되다가 디스코드가 바로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재설치도 해보고 임시파일도 지워보고 했는데 실행이 안되서 뭐가 문제인가하고 한참을 해맸는데 의외로 해결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바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주면 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바로가기나 실행파일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해주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이 됩니다. 만약에 다음에도 관리작 권한으로 계속 실행하고 싶다면 파일 우클릭 - 속성을 클릭한 다음에 속성 창에서 호환성을 클릭한 후에 "관리자 권한으로 이 프로그램 실행" 체..
OBS 스튜디오라는 인터넷 방송 & 녹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OBS는 Open Broadcast Software의 약자로 오픈소스이고 기능도 다른 유료 방송 프로그램에 비해서도 부족하지 않아서 인기도 많고 괜찮은 프로그램입니다. 아무튼, OBS로 캡쳐카드를 이용해서 닌텐도 스위치 화면을 캡처하는데 화면이 어둡게 나오는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바로 캡쳐보드로 캡쳐한 화면이 어둡게 나오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일단은 OBS 미리보기 화면에서 보면은 화면이 어둡게 나오지않고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로 송출되는 화면을 보면 화면이 어둡게 나옵니다. 회색으로 보이던 배경이 검은색처럼 나옵니다. 마치 감마 값이 높아진 것처럼 화면이 어두워졌습니다. 이리저리 만져보고 찾아본 결과, 화면이 어둡게 나오는 문제는..
한컴오피스 한글에서는 한글과 영어를 자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게 글자를 인식해서 자동으로 한글 또는 영어로 바꿔주는 기능인데 영어에서 한글로 자동변환되는건 쓸만한데 한글에서 영어로는 별로일 때가 많습니다. 한글로 글을 쓰고 싶은데 계속 영어로 바뀌는 일이 종종 있어서 이번 글에서는 이 한/영 자동 변환을 끄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글을 실행하면 상단에 다양한 메뉴들이 모여있습니다. 한글 - 영어 자동변환 설정을 위해서는 한글 상단에 있는 도구를 클릭해 줍니다. 도구를 클릭하고 메뉴를 보면 글자판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글자판 메뉴를 클릭하고 글자판 자동 변경이라는 항목을 클릭하여 글자판 자동 변경을 해제합니다. 글자판 자동 변경을 해제하면 이제 자동으로 한글 - 영어가 자동으로 변..
한컴오피스의 한글에서 표의 셀안에서 글자를 입력하다보면 표의 테두리와 글자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입력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첫번째 행의 글자와 표 테두리 사이의 간격은 꽤나 넓어보이는데 2번째 행과 3번째 행은 테두리와 글자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습니다. 글자뿐만 아니라 글자로 취급한 이미지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간격이 제멋대로라서 깔끔하지 못하고 보는데 불편한 느낌이 들고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이 셀과 글자사이의 간격이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따라하면 됩니다. 모든 셀의 안 여백 설정하기 표 테투리를 클릭해서 표를 선택한다음 우클릭 - 개체 속성을 클릭합니다. 아니면 표 테두리 클릭 후에 표를 두번 클릭하면 바로 개체 속성으로 들어가집니다. 개체 ..
PC에서 일반적인 SDR 모니터로 HDR 영상을 보게되면 화면이 어둡고 색이 뭔가 물빠진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팟플레이어에서 SDR 모니터로 HDR 영상을 재생하면 물빠진 색감으로 영상이 재생합니다. HDR 영상을 SDR 색공간으로 바꾸어줘야 합니다. 원래라면 동영상 자체를 인코딩하는 방법이 있지만 팟플레이어에서는 HDR 영상을 SDR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바꾸어주는 자동보정 기능이 있습니다. 이 자동보정을 상요하면 팟플레이어로 SDR 모니터에서도 HDR 영상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HDR 자동보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옵션을 설정해 주어야합니다. 팟플레이어 영상영역에서 우클릭 - 영상 - 픽셀세이더 - HDR SMPTE ST 2084 클릭 또는 팟플레이어에서 F5 키를 눌러서 환경설정..
여러분들은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무엇을 사용하나요?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나 직접 찍은 영상들을 다른 포맷으로 바꾸거나 화질이나 코덱을 변경해서 용량을 줄이기위해서 동영상 인코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이런 동영상 인코딩을 편리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GUI 기반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 대부분은 ffmpeg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ffmpeg를 잘 안다면 이런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을 쓰지않아도 되지만 ffmpeg가 CLI 기반으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컴퓨터를 잘하지 않는 이상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샤나인코더와 핸드브레이크(Handbrake)라는 2가지의 동영상 인코딩을 주로 사용합니다. 예전에는 다음 팟 인코더를 사용했었는데 지원종료..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인 명령 프롬프트(CMD), 파워쉘(PowerShell) 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끔씩만 사용한다면 큰 불편함이 없겠지만 자주 사용한다면 불편한게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명령어 복사 붙여넣기가 번거롭거나 여러개를 띄우면 보기불편하다는가 하는 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프로그램이 바로 Windwos 터미널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10에서는 별도로 설치해야 했었는데 윈도우11에서는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었습니다. Get Windows Terminal from the Microsoft Store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과 같은 명령 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의 빠르고 효율적이며 강력한 생산성의 터미널 응용 프로..
원격제어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팀뷰어 말고도 애니데스크라는 원격제어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팀뷰어와 마찬가리로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 이 애니데스크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오른쪽 시프트(Shift) 키가 먹히질 않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콜론(:)이나 큰 따옴표(") 같이 시프트 키를 눌러야 입력되는 문자들을 불편하게 왼쪽 시프트 키를 이용해서 입력했었습니다. 그 외에도 한영전환이 안되는 문제 등 각종 키보드 관련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법을 찾아보아쓴데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원인은 윈도우의 입력기가 한글로 설정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그러므로 입력기를 영어로 바꾸면 손쉽게 해결이 됩니다. 입력기(IME) 변경 입력기 변경은 ..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통신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로 연결됩니다. DNS란 Domain Name Sytem의 약자로서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형식의 인터넷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안 등의 이유라든가 사용 중인 DNS가 잘 작동하지 않던지 등의 이유로 DNS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DNS를 바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크롬 사용시에만 별도로 지정한 DNS 주소를 사용하게 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법은 간단한데 크롬 설정에서 몇가지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 보안 DNS 사용하기 우선 크롬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줍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 개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클릭해 주면 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에 있는 개인 ..
가끔씩 JSON파일이나 다른 파일들을 열어보면 가끔씩 정렬이 되어있지 않아서 알아보기 힘든 피일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JSON 파일을 열었는데 들여쓰기나 뛰어쓰기, 줄바꿈이 되어있지 않아 가독성이 매우떨어지고 보기도 불편합니다. 이렇게 보기힘든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문서 서식 옵션으로 예쁘고 보기편하게 정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서 서식(Format Document) 옵션으로 파일을 정렬하기 문서 서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어 모드(Language Mode)가 JSON, HTML, JavaScript, TypeScript, CSS 중 하나여야 합니다. 파일에 맞는 언어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위 경우에는 JSON 파일이라서 JSON을 선택해 주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마우스 우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