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사운드 장치를 사용하다보면 장치 이름앞에 숫자(1-, 2-, 3-)가 붙어서 장치이름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USB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헤드셋, 사운드카드,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등에서 이런 숫자가 붙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동일 장치를 다른 USB 포트에 연결하면 동일한 이름의 다른장치로 인식해서 중복을 피하기위해 앞에 숫자를 붙이게 됩니다. 아무튼 이런 숫자가 붙는게 불편하다면 장치 관리자를 통해 숫자를 없앨 수 있습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드라이버 삭제하기우선 장치 관리자 화면에서 사운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목록을 눌러 펼쳐줍니다. 그러면 장치목록이 나오는데 기본 상태에서는 현재 연결된 장치 목록만 나옵니다. 장치 관리자 창에서 상단에 보기(V) - 숨겨진 장치..
일단 결론만 말하자면 특정모니터 DP 연결시 화면이 먹통이 되는 문제는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572.60에서 발생하는 버그입니다. 어느 날, 컴퓨터를 켜보니 화면이 안나옵니다. 노트북에 모니터 2개를 연결해서 노트북 화면은 비활성화하고 듀얼모니터로 사용하고 있는데 부팅 중일 때는 화면이 잘나오다가 윈도우 부팅 후 로그인 화면에서 화면이 안나옵니다. 자세하게는 한쪽 모니터는 신호없음, 다른 모니터는 신호가 들어오나 검은화면만 나오는 현상입니다. 두 모니터 다 DP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DP케이블도 바꾸어보고 윈도우 업데이트도 제거해보고 그래픽 드라이버도 재설치해보고, DP 버전도 바꿔보고 프리싱크도 꺼보고 해볼건 다해보았는데 여전히 한쪽은 신호없음, 한쪽은 검은화면만 나왔습니다. ..
요즘 배그를 하는데 렉이 너무 걸립니다. 2017년에 나온 게임인데 패치를 할수록 사양이 올라가서 이제는 요즘 나오는 CPU로는 배그를 돌리기 힘들어졌습니다. 최적화가 참 좋지않은 게임입니다. 배그 플레이시 CPU 사용률 100%가 되고, GPU 사용률은 50~60%를 왔다갔다거리는데 조작을 해보면 뚝뚝 끊기는 느낌이 납니다. 특히 조준하는 순간에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합니다. 사람이 많이 있는 곳은 최적화가 별로라서 끊기는건 이해하겠는데 사녹같은 좁은 맵에서도 뚝뚝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하니 게임할 맛이 안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옵션을 살펴보고 만져보면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를 활성화하니 스터터링도 거의 사라지고 프레임도 올라갔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는 다음과 같이..
이제는 유명한 게임 플랫폼인 스팀. 요즘 게임들은 스팀으로 출시해서 대부분은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됩니다.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되면 게임내에 스팀 오버레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기본적으로 스팀 오버레이는 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스팀을 통해 실행된 게임은 키보드 Shift + Tab 키를 누르게 되면 스팀 오버레이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위 사진은 실제로 게임에서 Shift + Tab 키를 눌러서 스팀오버레이를 표시한 사진입니다. 이러한 스팀 오버레이를 사용하면 굳이 바탕화면에 나가지 않고 여러가지 스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되어서 편리합니다. 예시로 FPS 표시라든가, 게임패드 설정변경, 친구목록 확인, 도전과제, 창작마당, 게임 녹화 등 스팀 기능을 게임 내에..
윈도우의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무선으로 화면을 전송하는 기능인데 미라캐스트라고 불립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보면 화면 미러링, 캐스팅이라고 있는게 바로 미라캐스트입니다. 이런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어도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거의 쓸모없는 기능이였는데 최근에 빔프로젝터를 구매하면서 보니까 윈도우에 미라캐스트 기능인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옵션으로 연결이 가능하더라고요. 윈도우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10이나 11도 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11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하기윈도우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쪽에 무선 디스플레이에 연결 항목이 있습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해줍니..
오늘은 윈도우의 시간이 맞지 않을 때, NTP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우선 NTP란 Network Time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장비의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무튼 이러한 NTP 서버는 정확한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을 동기화하게 되면 정확하게 시계를 맞출 수 있게 됩니다. 당연히 서버를 통해 동기화하는 방식이기 떄문에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윈도우 시간 동기화 하기윈도우11의 경우 설정 앱 - 시간 및 언어 - 날짜 및 시간 순서대로 들어가줍니다. 날짜 및 시간에 들어가면 밑에 추가 설정에 지금 동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왼쪽에 쓰여있듯, time.windows.com 서버..
오늘 윈도우11로 업데이트했더니 오른쪽 밑에 있는 작업표시줄 시계가 이상하게 표시가 되었습니다. 위 사진처럼 시계가 기존에는 오전/오후 표시, 연도도 표시되었는데 윈도우11을 업데이트하니 저런식이 바뀌었습니다. 계속 시계를 보다보니 불편해서 찾아보니 다행히 윈도우 설정에 예전처럼 바꾸는 옵션이 존재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시간 및 언어 설정윈도우11 설정 - 시간 및 언어에서 날짜 및 시간을 클릭합니다. 날짜 및 시간 메뉴에 보볌 시스템 트레이에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켜고 끄는 옵션처럼 보이지만 오른쪽에 잘보면 화살표가 있습니다. 사실 이 메뉴는 접혀있는 메뉴입니다. 클릭해서 메뉴를 펼쳐줍니다. 메뉴를 펼치면 약식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클..
NAS를 사용하다보면 FTP, WEBDAV를 이용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파일을 탐색하게 되는데요. 특히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NAS에 저장하고 외부에서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동영상의 경우 팟플레이어로 보는게 깔끔하고 자막도 잘지원해서 이걸로 보고 싶은데요. 팟플레이어에서는 FTP, WebDAV, HTTP 프로토콜 연결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FTP, WebDAV,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면 팟플레이어로 쉽게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우선 팟플레이어의 재생목록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측하단에 재생목록 메뉴가 있습니다. 누르면 옆으로 재생목록이 나타납니다. 재생목록 위쪽에 +새 앨범 이라고 적혀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눌러서 새 앨범을 만들어줍니다. 아니면 재생목록에 마우스 우클릭 - 앨..
AMD 에서는 프리싱크라고 불리고 엔비디아에서는 지싱크 호환이라고 불리는 적응형 동기화가 있는데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일부 모니터에서 호환성 문제가 있는지 지싱크 호환을 활성화 하면 검은화면이 나오는 증상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바탕화면은 정상적으로 나오나 게임과 같이 프리싱크가 적용된 게임을 실행시 간헐적으로 화면이 깜박이거나 검은 화면만 나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사율을 직접 조금씩 바꾸어 주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주사율 변경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해상도 변경 화면에서 사용자 정의(M)...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정의 해상도 만들기(C)... 를 클릭합니다. 타이밍 설정에서 자동을 수동으로 변경해 줍니다. 재생빈도를 조금씩 낮춰줍니다. 0.005Hz 단위로 주사율을..
윈도우의 돌비 액세스 앱을 아시나요? 윈도우에서 헤드폰 사용시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을 적용시켜 스테레오 헤드폰에서 공간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앱입니다. 헤드폰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료로 결제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2020년도에 결제해서 가끔씩 사용하는데 이어폰이나 헤드폰 사용할 때, 설정하면 나름 괜찮은 것 같더라고요. 활성화하면 노멀라이즈도 되는지 작은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Dolby Access 설치https://apps.microsoft.com/detail/9n0866fs04w8?hl=ko-KR&gl=KR Dolby Access - Windows에서 무료 다운로드 및 설치 | Microsoft StoreDolby Access를 다운로드하여 헤드폰용 Dolby Atmos 무료 체험..
컴퓨터, 특히 데스크탑 중에서도 조립PC를 사용하고 있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야할 때가 있습니다. 주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때인데요. 뭐 요즘은 윈도우가 대부분 자동으로 설치해줘서 문제가 없지만 가끔씩 수동으로 설치해줘야 할 때가 있습니다. 메인보드에는 내장랜카드, 칩셋드라이버, 내장사운드드라이버 등등 메인보드에 탑재된 칩들의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 제조사와 모델명이 필요합니다. 컴퓨터를 직접 조립했으면 자신이 사용 중인 메인보드를 잘 알겠지만 조립 컴퓨터를 완본체 형태로 구매해서 사용 중이면 메인보드 명을 모를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를 분해하지 않고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윈도우 시스템 정보시작메뉴..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윈도우에서는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 원인을 어느정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란 일종의 로그 보관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윈도우 실행 중 발생한 각종 이벤트들을 보관하는데 이걸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 실행시작메뉴에 이벤트 뷰어라고 검색하면 이벤트 뷰어를 볼 수 있습니다. 또는 Win + R 키를 누른 후 실행 창에서 "eventvwr"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각종 로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실행하면 로딩이 한 20초 정도 걸립니다. 좌측에 Windows 로그 - 시스템을 클릭하면 윈도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