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모니터 주사율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요즘에는 다양한 주사율을 지원하는 모니터들이 많이 출시되어 고주사율 모니터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144Hz를 넘어서 160Hz, 240Hz, 360Hz 등 다양한 주사율을 가진 모니터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고주사율 모니터라도 설정을 제대로 하지않으면 제성능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윈도우에서 주사율 변경은 다음과 같이 하면됩니다. 윈도우11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10도 설정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 설정 진입먼저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시켜 줍니다. (단축키: Win + I)그런다음에 설정에서 좌측에 시스템 항목을 클릭해줍니다. 시스템 항목을 클릭하면 위 사진처럼 나타납니다. 맨 첫번째에..
여러 컴퓨터를 수리하다보면 윈도우를 사용 중에 재부팅을 하면 계속해서 해상도가 변경되는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그중 윈도우의 부팅옵션이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재부팅할 때 마다, 해상도가 자꾸 변경되어서 일일이 계속 변경해야하는 문제가 있다면 다음 방법을 따라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msconfig 부팅옵션 확인 단축키 Win + R 을 눌러서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줍니다. 실행 창에서 위와 같이 msconfig를 입력해줍니다. msconfig 입력 후에 확인을 클릭해 줍니다. msconfig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렀다면 시스템 구성 창이 나타납니다. 첫 화면은 일반 탭이 선택되어 있을텐데, 상단에 부팅 탭을 클릭하여 부팅 메뉴로 들어가 줍니다. 부팅 옵션에서 기본 ..
컴퓨터로 동영상을 보다보면 동영상 화면이 너무 어두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HDR 영상을 SDR로 실시간으로 변환해서 볼 때, 어두운 장면이 잘안보여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밝기조절을 통해서 밝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영화나 HDR 영상을 볼 때, 위에 처럼 어두운 화면을 보면 뭐가 있는지 잘 안보일 때가 있습니다. 보통은 모니터 자체적인 감마값을 조절하거나 윈도우에서 감마 값을 조절해서 밝기를 올려도 되지만 이렇게 직접 감마값을 바꾸기에는 귀찮아서 바꾸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팟플레이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영상 조절을 통해서 밝기, 대비, 채도등을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밝기를 올려서 어두운 영상도 편안하게 볼 수가..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이런저런 이유로 인터넷이 갑자기 안될 때도 있고, 느려질 때도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안되면, 불편한 점이 많아집니다. 이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DNS 캐시를 지워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에 접속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는 DNS 서버에서 IP 주소를 알려주고 이 IP 주소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매번 이 DNS 서버에서 IP주소를 받아오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이 응답받은 IP 주소를 DNS 캐시라는 형태로 따로 저장을 해둡니다. 이렇게 하면 자주가는 사이트의 경우, 굳이 DNS 서버를 거쳐서 IP 주소를 가져오지않고 DNS 캐시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더 빠르게 인터넷을 할 수 있습니..
디스코드(Discord) 설치 후 실행해 보면 윈도우 시작시 디스코드도 자동으로 시작하는 것이 기본값으로 되어있습니다. 디스코드를 항상 사용하면 모르겠는데 가끔씩 사용하는데 계속 윈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시작되는게 꽤 불편합니다. 다행히도 디스코드 설정에 자동시작을 끄는 옵션이 존재합니다. 디스코드 자동시작 끄기디스코드 설정을 하기위해서 좌측하단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좌측에 메뉴 목록에서 밑으로 스크롤하면 Windows 설정 메뉴가 있습니다. Windows 설정 메뉴 클릭 후 우측에서 Discord 열기 항목을 비활성화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디스코드가 실행되지 않게 됩니다.
크롬이나 엣지같은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저는 그래픽 가속(=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드웨어 가속기능이란 주로 동영상이나 3D 관련 작업을 전용 하드웨어가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설명이 어렵게 들릴 수 있는데 동영상을 예로들면 동영상을 재생하려면 디코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디코딩이라는 과정이 사실은 굉장히 복잡한 계산인데 이걸 하드웨어 가속으로 처리하면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드웨어 가속은 실제 하드웨어에서 회로수준에서 디코딩을 바로 처리할 수 있게 설계를 했기 떄문입니다. 실제로 그래픽카드나 내장그래픽에는 별도의 동영상 디코딩, 인코딩 칩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요즘 4K 영상이나 8K 영상을 재생해보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면 별 문제없이 재생되지만 하..
요즘들어 인텔과 관련한 프로그랜들이 말썽이네요. 저번에는 DSAService가 말썽이더니 이번에는 Intel(R) System Usage Report 라는 프로세스가 또 말썽입니다. 작업관리자에서 나타나는 Intel(R) System Usage Report 프로세스입니다. 지금은 CPU 자원을 별로 쓰고 있지않지만 갑자기 CPU 점유율을 잡아먹을 때가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또 무엇인가하니 Intel(R) Computing Improvement Program 라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Intel(R) Computing Improvement Program 삭제하기 프로그램 제거는 윈도우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에서 삭제하거나 윈도우 설정 - 앱 - 설치된 앱에서 제거..
요즘 대부분의 블랙박스는 전방, 후방 2채널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번 글에서 블랙박스 후방카메라 영상을 보는 법을 작성하였는데 이번 글에서는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이 하나로 합쳐져 있는 영상을 분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전방과 후방카메라 영상을 분리하려면 동영상 인코딩을 해야합니다. 동영상 인코딩을 위해서는 오픈소스인 ffmpeg를 사용하는데 이건 CLI 기반이라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서 사용하는거라 일반인들이 사용하기는 매우어려워서 ffmpeg 기반으로 만들어진 GUI 방식의 별도의 동영상 인코더를 주로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동영상을 인코딩하고 싶다면 샤나인코더를 추천합니다. 국산 프로그램이라서 프로그램도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고 프로그램도 가벼워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
요즘은 윈도우를 새로설치하면 파일 정렬을 하게되면 정렬 후 또다시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바뀌었더군요. 기본값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오늘, 어제, 이번주, 저번주 초, 지난 달, 올해 초, 오래전 이런식으로 범주를 가지고 정렬을 다시 하게되는데 이게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게 사용자가 직접 만든 파일들은 날짜별로 정리되서 괜찮은데 인터넷이나 USB 등으로 외부 환경에 파일을 받으면, 수정한 날짜가 제각각이라서 다운로드 폴더와 같은 곳에서는 이 정렬기능 때문에 엉망진창으로 정렬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일 탐색기 분류 방법 해제위 사진을 보면 다운로드 폴더를 보면 크기 순으로 정렬을 해도 날짜별로 또 분류가 ..
지인이 운전 중에 고라니를 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려는데 전방 블랙박스 카메라 각도가 하늘을 쳐다보고 있어서 전방카메라 영상으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서 후방 카메라 영상이 필요해졌습니다. 하지만 블랙박스 SD 카드에 저장된 파일들을 보면 전방 카메라 영상 파일밖에 없습니다. 처음에는 전방 카메라만 녹화되게 설정이 되어있나 생각했었습니다.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정보를 확인해 보니 파일에 동영상 2개가 저장이 되어 있었습니다. 블랙박스 영상이 AVI 파일에 전방 영상과 후방영상, 그리고 오디오 파일이 담겨져 있습니다. 즉, AVI 파일에 전방카메라 영상이 1번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면 전방 카메라 영상만 표시되는 것이였습니다. 아무튼 후방카메라 영상을 보려..
예전부터인가 게임이나 부하가 높은 작업을 할 때, 가끔씩 렉이 걸리는 현상이 종종 있었습니다. 그 때는 별로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는데 최근에 들어서 이런 버벅거리는 현상이 훨씬 심해져서 왜 이런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듀얼 모니터로 게임을 실행하고 렉이 걸리는 순간에 작업관리자를 보니 DSAService 라는 프로세스가 높은 CPU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이 보였습니다. DSAService가 뭔지 확인해보니 인텔에서 제공하는 자동으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Intel Driver & Support Assistant 와 관련된 프로세스 였습니다. 인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나 무선랜, 블루투스 드라이버 등 인텔 관련 드라이버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꽤나 유용하게 사용했던 프로그램인데 버..
팟플레이어를 설치하고나면 기본 설정으로 노멀라이저가 적용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노말라이저란 소리를 적정레벨로 키워주거나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면, 소리가 작게 녹음된 파일을 노말라이저를 해제하고 들으면 그대로 작게 들리지만, 노말라이저를 사용하게 되면 소리를 크게 증폭시켜주어서 별도로 볼륨조절을 하지않아도 적당하게 들리게 됩니다. 영화같은 영상을 볼 때, 대화소리가 작게 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노말라이저를 켜면 잘 들리게 됩니다. 이 노멀라이저 기능은 유용한 기능이긴하지만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스피커로 들으면 크게 불편하지는 않지만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소리를 들으면 화이트 노이즈가 들리기도하고, 영상마다 소리 크기가 달라서 불편합니다.그래서 노멀라이저를 끄고 사용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