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HDR 영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HDR 영상은 High Dynamic Range의 약자인데 기존의 SDR(Standard Dynamic Range)보다 더 넓은 명암을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서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표현해서 진짜 사실같은 명암을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끔씩 HDR 영상을 재생할 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HDR 영상을 보면 물빠진 색감처럼 보입니다. 이는 HDR을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라서 그런데, HDR 지원 모니터와 그에 맞는 동영상 플레이어 등 HDR을 지원하는 환경이라면 HDR 영상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대부분은 HDR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서 HDR영상을 보면 물빠진 색감처럼 보입니다. 그럼 HDR 영상을 지원되지 않는 기기에..
여러분들은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무엇을 사용하나요?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나 직접 찍은 영상들을 다른 포맷으로 바꾸거나 화질이나 코덱을 변경해서 용량을 줄이기위해서 동영상 인코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하는데 이런 동영상 인코딩을 편리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GUI 기반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 대부분은 ffmpeg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ffmpeg를 잘 안다면 이런 동영상 인코더 프로그램을 쓰지않아도 되지만 ffmpeg가 CLI 기반으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컴퓨터를 잘하지 않는 이상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샤나인코더와 핸드브레이크(Handbrake)라는 2가지의 동영상 인코딩을 주로 사용합니다. 예전에는 다음 팟 인코더를 사용했었는데 지원종료..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인 명령 프롬프트(CMD), 파워쉘(PowerShell) 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끔씩만 사용한다면 큰 불편함이 없겠지만 자주 사용한다면 불편한게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명령어 복사 붙여넣기가 번거롭거나 여러개를 띄우면 보기불편하다는가 하는 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프로그램이 바로 Windwos 터미널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10에서는 별도로 설치해야 했었는데 윈도우11에서는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었습니다. Get Windows Terminal from the Microsoft Store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과 같은 명령 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의 빠르고 효율적이며 강력한 생산성의 터미널 응용 프로..
터치가 지원되는 모니터가 흔하지는 않지만 제가 쓰고있는 휴대용 모니터인 제우스랩 Z15ST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모니터입니다. 윈도우에서 모니터를 복제모드로 쓸 때는 상관이 없는데 터치가 되는 모니터를 확장용으로 쓸 때, 터치입력이 다른 모니터(다른 화면)에 입력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터치가 안되는 모니터1, 터치가 되는 모니터2가 확장모드로 각각 다른 화면이 나오고 있을 때, 모니터2에서 터치를 하면 모니터1 화면에서 터치 입력이 들어갑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터치 모니터를 지정해 주면 해결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윈도우11 모두 적용이 가능합니다. 태블릿 PC 설정 먼저 제어판을 검색해서 제어판에 들어가 줍니다. 제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하드디스크용 나사를 구매했습니다. 타오나스에서 새로운 하드를 장착하려는데 나사가 없어서 구매를 하게되었습니다. 나사규격은 6-32x6mm 입니다. 은색과 검정색 각각 50개씩해서 총100개를 구매했습니다. 국내에서도 하드디스크용 나사를 팔지만 이 나사처럼 머리가 평평한 나사는 보이지가 않아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했습니다. 참고로 2.5인치용 하드디스크용 나사와는 나사산 간격(피치)이 다릅니다. 이전에 2.5인치용 나사를 쓰니까 계속 헛돌길래 왜이러지 했는데 보니까 2.5인치용과 3.5인치용 나사는 규격이 달라서 잘 확인해야 합니다. 타오나스는 하드디스크 베이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나사머리가 뚱뚱한 건 사용을 못할 것 같습니다. 나사는 문제없이 잘 들어갑니다...
원격제어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팀뷰어 말고도 애니데스크라는 원격제어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팀뷰어와 마찬가리로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 이 애니데스크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오른쪽 시프트(Shift) 키가 먹히질 않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콜론(:)이나 큰 따옴표(") 같이 시프트 키를 눌러야 입력되는 문자들을 불편하게 왼쪽 시프트 키를 이용해서 입력했었습니다. 그 외에도 한영전환이 안되는 문제 등 각종 키보드 관련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법을 찾아보아쓴데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원인은 윈도우의 입력기가 한글로 설정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그러므로 입력기를 영어로 바꾸면 손쉽게 해결이 됩니다. 입력기(IME) 변경 입력기 변경은 ..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통신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로 연결됩니다. DNS란 Domain Name Sytem의 약자로서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형식의 인터넷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안 등의 이유라든가 사용 중인 DNS가 잘 작동하지 않던지 등의 이유로 DNS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DNS를 바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크롬 사용시에만 별도로 지정한 DNS 주소를 사용하게 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법은 간단한데 크롬 설정에서 몇가지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 보안 DNS 사용하기 우선 크롬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줍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 개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클릭해 주면 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에 있는 개인 ..
가끔씩 JSON파일이나 다른 파일들을 열어보면 가끔씩 정렬이 되어있지 않아서 알아보기 힘든 피일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JSON 파일을 열었는데 들여쓰기나 뛰어쓰기, 줄바꿈이 되어있지 않아 가독성이 매우떨어지고 보기도 불편합니다. 이렇게 보기힘든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문서 서식 옵션으로 예쁘고 보기편하게 정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서 서식(Format Document) 옵션으로 파일을 정렬하기 문서 서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어 모드(Language Mode)가 JSON, HTML, JavaScript, TypeScript, CSS 중 하나여야 합니다. 파일에 맞는 언어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위 경우에는 JSON 파일이라서 JSON을 선택해 주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마우스 우클릭 ..
언리얼 엔진5를 사용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나타났습니다. 이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페이징 파일이 너무 작습니다. The paging file is too small for this operation to complete. 램이 16기가인데도 이런 오류가 발생하네요. 그래서 이번 글은 페이징 파일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상 메모리 윈도우나 기타 다른 OS에서는 보조 기억장치(HDD, SSD)를 이용해 물리적 메모리(RAM)의 남은 공간이 없으면 보조 기억장치에 RAM 데이터를 저장하여 RAM 공간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를 가상메모리라고 부르며 윈도우에서는 페이징 파일(또는 페이지 파일) RAM 데이터를 저장하게 됩니다. 실제로 확인해 보면 C드라이브 최상단 폴더에 pagefile.sys 라..
윈도우10, 11에서는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여행을 가거나 낯선 장소에 갔을 때, 공유기가 갑자기 고장나서 와이파이가 안될 때,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를 쓰고 싶은데 유선 인터넷만 있어서 사용을 하지 못할 때 이런 상황에서 노트북이나 무선랜카드가 장착된 컴퓨터가 있으면 모바일 핫스팟 기능으로 임시로 와이파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모바일 핫스팟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핫스팟을 사용하기위해 윈도우11 설정 앱을 열어줍니다. 그 다음으로 왼쪽에 있는 메뉴 중에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를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를 클릭했다면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해 줍니다. 모바일 핫스팟에서 각종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으로 셀레니움을 사용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Desktop/selenium/test_selenium.py", line 28, in driver = webdriver.Chrome(options=options) File "/home/Desktop/selenium/lib/python3.10/site-packages/selenium/webdriver/chrome/webdriver.py", line 80, in __init__ super().__init__( File "/home/Desktop/selenium/lib/python3.10/site-packages/selenium/webdriver/chromium..
블렌더를 사용하다가 이런저런 수 많은 이유로 저장을 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갑자기 정전이 나거나 프로그램이 멈추거나 블루스크린이 생기거나 프로그램이 멈추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말이죠. 그러나 걱정은 하지마세요. 블렌더에서는 기본적으로 2분마다 작업 중인 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있습니다. 블렌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동저장된 파일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자동 저장파일 불러오기 블렌더 프로그램 상단 메뉴에 보면 File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클릭해 줍니다. File 메뉴에서 Recover 항목에 마우스를 올려두면 Last Session 항목과 Auto Save... 항목이 나타납니다. 자동 저장파일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Auto Save... 항목을 클릭합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