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인터넷 브라우저에 쿠키라는 파일들이 쌓이게 됩니다. 보통 자동 로그인이나 로그인 유지 같은 로그인 관련 기능을 위해 쿠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요. 이런 쿠키를 지우기 위해서 크롬에서 인터넷 사용기록에서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이렇게 하면 특정 기간 또는 모든 쿠기 및 사이트 데이터가 지워지기 때문에 기껏 자동로그인 되어있던 사이트들의 로그인이 풀려서 다시 로그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크롬에서 특정 사이트의 쿠키나 데이터를 지우고 싶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크롬 설정 들어가기크롬 실행 후 우측 상단에 점 3개 아이콘을 클릭해서 메뉴를 열어줍니다.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면 크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크롬 설정 페이지에서..
크롬이나 엣지같은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저는 그래픽 가속(=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드웨어 가속기능이란 주로 동영상이나 3D 관련 작업을 전용 하드웨어가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설명이 어렵게 들릴 수 있는데 동영상을 예로들면 동영상을 재생하려면 디코딩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디코딩이라는 과정이 사실은 굉장히 복잡한 계산인데 이걸 하드웨어 가속으로 처리하면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드웨어 가속은 실제 하드웨어에서 회로수준에서 디코딩을 바로 처리할 수 있게 설계를 했기 떄문입니다. 실제로 그래픽카드나 내장그래픽에는 별도의 동영상 디코딩, 인코딩 칩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요즘 4K 영상이나 8K 영상을 재생해보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면 별 문제없이 재생되지만 하..
노트북을 사용 중인데 노트북으로 여러개의 모니터(듀얼 모니터, 트리플 모니터 등)를 연결하고 크롬으로 유튜브나 트위치를 시청하면 동영상 끊김이나 프레임 드랍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증상을 설명해 보자면 크롬에서 유튜브를 재생하면, 특히 고해상도의 영상들(4K 등) 전체화면으로 보면 처음에는 동영상 싱크가 맞다가 점점 틀어지더니 버퍼링이 걸린 후 다시 싱크가 맞아지는데 이게 주기적으로 반복이 됩니다. 다음으로 크롬에서 트위치를 보면 뭔가 미묘하게 프레임이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데 표시되는 프레임은 60프레임인데 실제로 모니터로 보면 40~50프레임을 왔다갔다 하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크롬 창을 일정 크기로 줄이면 이런 프레임 드랍이 사라지면서 부드러운 60프레임으로 재생이 됩니다. 노트북의 디스플레이만 ..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통신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로 연결됩니다. DNS란 Domain Name Sytem의 약자로서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형식의 인터넷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안 등의 이유라든가 사용 중인 DNS가 잘 작동하지 않던지 등의 이유로 DNS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 DNS를 바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크롬 사용시에만 별도로 지정한 DNS 주소를 사용하게 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법은 간단한데 크롬 설정에서 몇가지 설정만 해주면 됩니다. 보안 DNS 사용하기 우선 크롬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줍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 개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클릭해 주면 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에 있는 개인 ..
서론 어느순간 크롬과 엣지를 사용하면서 메뉴에 "조직에서 관리" 라는 메뉴가 갑자기 나타났습니다. 회사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면 모를까 개인 컴퓨터에서 저런 문구가 나오니 찜찜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보안프로그램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위처럼 크롬과 엣지에서 메뉴를 열어보면 "조직에서 관리" 라는 메뉴가 나타나있습니다. 엣지에서는 "조직에서 관리함" 이라고 나타납니다. 크롬 설정에서도 "관리 대상 브라우저입니다"라는 메뉴가 있고 클릭해도 관리자가 원격으로 브라우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는 말뿐이고 해제하는 방법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해결방법 크롬과 엣지는 같은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결방법도 거의 같습니다. ▼크롬 정책 주소 chrome://policy/ ▼엣지 정책 주소 edge://polic..
최근 노트북으로 4K 모니터를 하나로 추가로 연결하여 듀얼모니터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유튜브나 트위치같이 동영상을 재생하면 프레임이 드랍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사용환경은 다음과 같다. CPU: i7 9750H GPU: 내장 UHD 630, 외장 RTX2060 모니터: 내장그래픽 - FHD, 144Hz(노트북 내장모니터), 외장그래픽 - 4K, 60Hz 모니터 디스플레이 모드: 디스플레이 확장 위의 구성으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4K 해상도 출력 및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는 사양인데 크롬으로만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였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노트북의 내장모니터로 동영상을 재생하면 동영상이 끊기지 않고 부드럽게 재생되고 외장그래픽으로 연..
얼마전에 크롬을 사용하면서 가끔씩 오류가 났습니다. 크롬을 사용시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하고 지웠다가 다시입력하려면 노란색으로 글씨 배경이 칠해지면서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지웠던 글씨가 나오면서 마치 자동완성처럼 지워도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다시 나오는 오류가 생겼습니다. 이런식으로 검색창에 검색하려고 해도 자동완성때문에 제대로 검색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크롬을 종료하고 다시키면 다시 돌아오긴 하지만 가끔씩 저 오류가 걸릴 때도 있어서 크롬의 개인정보랑 기록도 다 지워봐도 얼마지나지 않아 또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그렇게 사용하다가 가만히 보니까 오류가 한글입력기가 한컴입력기 일 때만 이런오류가 발생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한컴입력기에서 Microsoft 입력기로 바꾸니 바로 입력 오류가 사라..
크롬을 사용해보면 파일을 다운로드해보면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기본적으로 저장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처럼 다운로드할 때 일일이 폴더를 설정하지 않아도 편합니다. 하지만 다운로드할 파일의 용량이 크거나 다른 이유로 다른 곳에 저장하고 싶을 때는 설정을 바꿔줘야지 다른위치에 저장이 가능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다운로드 다운로드 폴더 변경/설정하기 먼저 설정을 변경하기위해 당연히 설정을 클릭합니다. 우측 상단에서 점 세개 아이콘 클릭 후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 아래로 내려줍니다. 고급 버튼이 있습니다. 고급을 클릭해 줍니다. 고급에서 밑으로 내리다 보면 다운로드 항목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다운로드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다운로드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4K 영상이 늘어나면서 유튜브도 4K 영상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유튜브를 들어가면 영상 제목에 4K라고 적혀있는데도 4K 설정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왜 4K 설정이 안될까 인터넷으로 해결법을 찾다가 의문점을 해결했습니다. 해결방법은 바로 크롬브라우저를 사용해라 입니다. 유튜브 4K로 보기 위 사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8K 60fps를 지원하는 영상이지만 품질에 들어가보면 1080P60 밖에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크롬 브라우저로 들어가보면 4K, 8K 60fps를 완전히 지원합니다. https://www.youtube.com/html5 위 주소로 들어가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무었을 지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들어가보면..
크롬에는 시크릿 모드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면 방문기록, 쿠키, 검색기록 등이 내 컴퓨터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공공장소나 PC방과 같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면 인터넷 사용기록이 남지 않아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롬 시크릿 모드 사용하기 크롬의 시크릿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크롬을 실행 시킨 후에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새 시크릿 창(I)를 클릭합니다. 단축키로는 Ctrl + Shift + N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외워서 실행하면 빠르고 이게 더 편합니다. 저는 주로 단축키로 시크릿 모드를 실행합니다. 시크릿 모드를 실행하게 되면 크롬의 색이 검은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여기서 평소와 마찬..
크롬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하기 크롬이나 기타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다보면 편의를 위해서 방문기록이나 쿠키를 저장합니다. 하지만 이런 인터넷 사용 기록을 남겨두고 싶지 않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삭제해야합니다. 이번시간에는 크롬 브라우저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대부분의 모든 인터넷 브라우저에는 설정항목이 있습니다. 구글 크롬의 경우 좌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한 후 설정을 눌러주면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설정화면으로 이동하면 설정 탭에서 아래쪽에 있는 고급 설정 표시를 클릭합니다. 고급 설정 표시를 클릭한 후에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개인정보란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클릭합니다. 인터넷 사용 기록 창이 나타나면 다음 항목 삭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