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사운드 장치를 사용하다보면 장치 이름앞에 숫자(1-, 2-, 3-)가 붙어서 장치이름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USB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헤드셋, 사운드카드,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등에서 이런 숫자가 붙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동일 장치를 다른 USB 포트에 연결하면 동일한 이름의 다른장치로 인식해서 중복을 피하기위해 앞에 숫자를 붙이게 됩니다. 아무튼 이런 숫자가 붙는게 불편하다면 장치 관리자를 통해 숫자를 없앨 수 있습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드라이버 삭제하기우선 장치 관리자 화면에서 사운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목록을 눌러 펼쳐줍니다. 그러면 장치목록이 나오는데 기본 상태에서는 현재 연결된 장치 목록만 나옵니다. 장치 관리자 창에서 상단에 보기(V) - 숨겨진 장치..
시놀로지 나스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설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대부분은 웹으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하지만 일부 설정같은 경우에는 SSH로 접속하여 설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시놀로지의 경우 SSH 접속이 보안을 위해 기본설정은 차단되어 있기때문에 SSH 접속을 위해서는 먼저 SSH 접속을 허용해야 합니다. SSH 활성화 방법은 간단합니다. 늘 하던대로, 인터넷 브라우저로 시놀로지 나스 DSM 페이지로 접속해 제어판을 열어줍니다. 여기서 터미널 및 SNMP 항목을 클릭해줍니다. 들어가면 SSH 서비스 활성화 항목이 있습니다.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활성화 후에 적용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적용합니다. 이제 터미널같은 프로그램으로 SSH로 접속하면 접속이 잘 되는 것을 확인..
오늘 윈도우11로 업데이트했더니 오른쪽 밑에 있는 작업표시줄 시계가 이상하게 표시가 되었습니다. 위 사진처럼 시계가 기존에는 오전/오후 표시, 연도도 표시되었는데 윈도우11을 업데이트하니 저런식이 바뀌었습니다. 계속 시계를 보다보니 불편해서 찾아보니 다행히 윈도우 설정에 예전처럼 바꾸는 옵션이 존재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시간 및 언어 설정윈도우11 설정 - 시간 및 언어에서 날짜 및 시간을 클릭합니다. 날짜 및 시간 메뉴에 보볌 시스템 트레이에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켜고 끄는 옵션처럼 보이지만 오른쪽에 잘보면 화살표가 있습니다. 사실 이 메뉴는 접혀있는 메뉴입니다. 클릭해서 메뉴를 펼쳐줍니다. 메뉴를 펼치면 약식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클..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게임이나 동영상을 플레이할 때, 어두운 부분의 화면이 잘보이지 않은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어두운 부분이 잘 보이지 않아서 밝게 보고 싶다면 감마 값을 조절하면 됩니다. 모니터에서도 감마 값을 조절할 수 있지만 모니터에서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이고, 만약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손쉽게 감마 값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NVIDIA 제어판NVIDIA 제어판에 들어가는 방법은 바탕화면에 마우스 우클릭 후 나오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NVIDIA 제어판을 클릭하면 됩니다. 또다른 방법은 시작메뉴에서 NVIDIA Control Panel 을 검색하여 실행하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화면이 나타나면 왼쪽에 "바탕화면 컬러 조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바..
윈도우에는 마우스에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윈도우7에서도 이 옵션이 존재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이 옵션이 무슨 옵션이냐면,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는 우리가 설정한 DPI 수치만큼 움직입니다. 그런데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켜져있으면 마우스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움직일 때 가속도에 따라 마우스 커서 이동거리를 늘려버립니다.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인데 실제로 마우스를 잡고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때,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움직인거랑 순간적으로 빠르게 마우스를 잡고 이동한 거랑 마우스 커서 위치를 비교하면 순간적으로 이동했을 때가 마우스 커서가 더 멀리 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FPS와 같이 에임이 중요한 게임같은 경우에는 마우스 가속에 따라 이동거리가 달..
유튜브에서는 영상 탐색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원하는 장면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동영상을 빠르게 넘기거나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이 썸네일 미리보기가 나름 유용한데요. 그러나 팟플레이어에서는 이 기능을 지원함에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탐색바 미리보기 설정하기먼저 팟플레이어 환경설정 창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클릭으로 환경 설정 메뉴를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뜹니다. 환경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에 재생 메뉴를 클릭한 다음, "탐색바에 마우스 위치 시 썸네일 표시" 옵션을 클릭하여 활성화 해줍니다. 그러면 팟플레이어에서도 유튜브처럼 재생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팟플레이어로 동영상 재생 시 대화나 말소리가 작게 들려서 불편한 경험이 있을텐데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팟플레이어 설정이 잘못되어있거나 특정 설정을 적용한다면 대화같은 말소리를 키울 수 있습니다. 1. 팟플레이어 소리 출력채널 확인우선 가장 먼저 확인해볼 설정은 출력 채널 설정입니다. 보통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스피커가 2개인 2.0 채널인 스테레오를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자신의 스피커 시스템이 5.1 채널이거나 7.1 채널이면 그에 맞는 채널을 선택하면 되는데, 2.0 채널인데 5.1 채널이나 7.1 채널이 선택되었다면 자신에게 맞는 채널로 변경해 주세요.스피커 채널이 맞지 않으면 배경소리만 들리고 대화소리는 아주 작게 나오게 됩니다. 2. 노멀라이저 사용하기다음으로는 노멀라이저 사용입니다...
얼마전에 구입한 MAGCUBIC HY320. 기본 설정으로는 만질 수 있는게 별로 없습니다. 기본 설정으로는 네트워크, 블루투스, 키스톤 설정, 언어 설정 같은 기본적인 설정밖에 변경할 수 가 없는데 안드로이드의 개발자모드처럼 특정 방법으로 숨겨져 있는 옵션을 열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급 설정을 활성화하게 되면 화면 색감 조정, 절전모와 같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HY320 기본설정 메뉴입니다. 설정할 수 있는게 별로 없습니다. HY320 설정메뉴에서 회사소개 - 기기정보 화면에서 리모컨의 OK 버튼을 5번 정도 누르면 위 사진처럼 "설정 모드가 켜졌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난 다음에 기타 설정에 들어가보면 개발자 옵션과 고급 설정이 생긴 것을 볼 수 ..
윈도우10에서는 작업표시줄 시계를 클릭하면 달력과 함께 시계에 초가 표시되어서 유용하게 썼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표시되지 않더라고요. 윈도우10을 쓸 때는 초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했는데 윈도우11에서는 초를 못보니까 은근히 불편합니다. 특히 수강신청이나 인터넷 예매같은 1초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초 표시가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위 사진처럼 윈도우10에서는 저렇게 시계를 눌러서 시, 분, 초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더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윈도우11 초기빌드에서는 초 표시 옵션이 없었지만 윈도우11이 업데이트되면서 초 표시 옵션이 생겼습니다. 기존 윈도우10 처럼 달력에서 표시되는게 아니라 작업표시줄 시계에서 상시로 초가 표시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초를 못..
윈도우 11과 10에서는 설정에서 디스플레이 항목을 보면 디스플레이 배율 설정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4K 모니터와 같이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가 나오면서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화면에서 글씨나 UI 등의 메뉴가 작아져서 보기힘든데 이렇게 배율을 설정하면 배율만큼 화면이 커지게 되어서 보기가 편해집니다. 디스플레이가 여러개이고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 배율이 설정되어 있다면 프로그램을 다른화면으로 옮길 때마다 크기가 바뀌는데 문제는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이 디스플레이 배율 설정이 먹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은 4K 모니터에서 REAPER 라는 DAW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진입니다. 4K 모니터로 프로그램을 옮겼는데 배율이 적용되지 않아서 글씨나 UI가 매우 작게 표시되어 4K 모니터에서 보..
터치가 지원되는 모니터가 흔하지는 않지만 제가 쓰고있는 휴대용 모니터인 제우스랩 Z15ST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모니터입니다. 윈도우에서 모니터를 복제모드로 쓸 때는 상관이 없는데 터치가 되는 모니터를 확장용으로 쓸 때, 터치입력이 다른 모니터(다른 화면)에 입력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터치가 안되는 모니터1, 터치가 되는 모니터2가 확장모드로 각각 다른 화면이 나오고 있을 때, 모니터2에서 터치를 하면 모니터1 화면에서 터치 입력이 들어갑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터치 모니터를 지정해 주면 해결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윈도우11 모두 적용이 가능합니다. 태블릿 PC 설정 먼저 제어판을 검색해서 제어판에 들어가 줍니다. 제어..
요즘 윈도우11로 업데이트해서 사용 중인데 윈도우의 기본앱(설정 앱, 스토어 앱 등) 실행 중에 다른 창이 띄워지면 앱의 배경색이 바뀌는 현상이 있습니다. 다음의 사진을 보면. 설정 앱을 보면 더욱 더 확연히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앱을 띄어놓고 다른 창을 선택하면 위 사진처럼 화이트 밸런스가 변하는 것처럼 색이 변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그런가 보다하고 넘겼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색이 변하는게 눈에 거슬려서 해결법을 찾기로 하였습니다. 해결법은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먼저 설정 앱을 실행한 후에 개인 설정 - 색 항목을 선택합니다. 색 설정에서 투명 효과를 켬 상태에서 꺼짐 상태로 변경해 줍니다. 투명 효과를 끄게 되면 더이상 다른 창을 띄웠을 때 윈도우 앱의 색상이 더 이상..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