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DNS 주소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우리가 자주 접하는 인터넷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를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인터넷 브라우저는 www.naver.com 주소를 DNS 서버에 전달하면 DNS 서버는 123.456.123.456 같은 형태의 IP 주소를 전달해 줍니다. 그러면 전달 받은 IP 주소로 연결하게 되면 네이버 화면이 나오게 되는 거죠. DNS 설정을 바꾸는 방법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인 컴퓨터나 모바일에서 직접 바꿀 수 있고 공유기에서 자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쪽에서 직접 DNS를 변경하면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의 DNS가..
공유기에서 들어오는 IP가 고정 IP가 아닌 유동 IP라면 외부에서 접속할 때 항상 공유기에 연결된 IP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거쳐야 합니다. 그러므로 DDNS 기능을 이용해 항상 변하고 외우기 쉽지 않은 IP 주소 대신에 항상 같은 주소로 동일한 공유기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DDNS란 Dynamic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Domain Name 이란 우리가 흔히 보는 www.naver.com 과 같은 주소 이름을 말합니다. 우리가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 과 같은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www.naver.com은 DNS 서버를 통해서 네이버 서버가 있는 IP주소를 DNS 서버가 알려줍니다. 그러면 인터넷 브라우저는 그 IP주소로 연결이 됩..
컴퓨터가 어느정도 좋으면 시작프로그램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일정하게 빠른 속도가 나오지만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시작프로그램이 컴퓨터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습니다. 시작프로그램이 많아지면 부팅 속도에도 영향이 가고 부팅시 차지하는 RAM 용량도 많아지고 CPU 사용량도 많아져 컴퓨터 속도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윈도우 10 시작프로그램 관리하기 원래는 실행을 통해서 msconfig를 통해서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윈도우 8부터는 작업관리자에서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하기때문에 작업관리자를 통해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합니다. 그래도 msconfig를 통한 시작프로그램 관리를 알아두면 윈도우7에서도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으니 알아 봅시다. 먼저 실행 - msconfig 를..
공유기를 구입하고 바로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 초기상태에서는 와이파이의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물론 와이파이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으면 보안에 취약해지고 누구나 그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용할 경우 속도가 느려지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공유기 와이파이 비밀번호 설정하기 공유기 무선보안 설정 공유기 설정을 위해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해야 합니다. 제가 쓰는 netis 공유기의 경우 공유기 기본 설정 주소가 http://192.168.1.1 입니다. 공유기 설정 주소같은 경우에는 각 제조사마다 다릅니다. 아이피타임(iptime)의 경우는 http://192.168.0.1 이며 KT의 기가 공..
크롬을 사용해보면 파일을 다운로드해보면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기본적으로 저장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처럼 다운로드할 때 일일이 폴더를 설정하지 않아도 편합니다. 하지만 다운로드할 파일의 용량이 크거나 다른 이유로 다른 곳에 저장하고 싶을 때는 설정을 바꿔줘야지 다른위치에 저장이 가능합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다운로드 다운로드 폴더 변경/설정하기 먼저 설정을 변경하기위해 당연히 설정을 클릭합니다. 우측 상단에서 점 세개 아이콘 클릭 후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 아래로 내려줍니다. 고급 버튼이 있습니다. 고급을 클릭해 줍니다. 고급에서 밑으로 내리다 보면 다운로드 항목이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다운로드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다운로드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에서부터는 인터넷 기본프로그램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신이 자주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기본 프로그램으로 적용하면 보다 편하게 윈도우10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하기 윈도우10에서는 설정을 통해서 간단하게 기본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일 먼저 설정을 열어서 앱을 클릭합니다. 좌측에서 기본 앱을 클릭해줍니다. 기본 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나는데 자신이 변경을 원하는 앱을 선택합니다. 웹 브라우저의 기본프로그램을 바꾸고 싶다면 웹 브라우저의 기본 프로그램으로 선택되어있는 엣지를 클릭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변경해 줍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크롬을 주로 사용하므로 크롬으로 변경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판을 통해서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