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5를 사용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나타났습니다. 이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페이징 파일이 너무 작습니다. The paging file is too small for this operation to complete. 램이 16기가인데도 이런 오류가 발생하네요. 그래서 이번 글은 페이징 파일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상 메모리 윈도우나 기타 다른 OS에서는 보조 기억장치(HDD, SSD)를 이용해 물리적 메모리(RAM)의 남은 공간이 없으면 보조 기억장치에 RAM 데이터를 저장하여 RAM 공간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를 가상메모리라고 부르며 윈도우에서는 페이징 파일(또는 페이지 파일) RAM 데이터를 저장하게 됩니다. 실제로 확인해 보면 C드라이브 최상단 폴더에 pagefile.sys 라..
윈도우10, 11에서는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여행을 가거나 낯선 장소에 갔을 때, 공유기가 갑자기 고장나서 와이파이가 안될 때,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를 쓰고 싶은데 유선 인터넷만 있어서 사용을 하지 못할 때 이런 상황에서 노트북이나 무선랜카드가 장착된 컴퓨터가 있으면 모바일 핫스팟 기능으로 임시로 와이파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모바일 핫스팟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핫스팟을 사용하기위해 윈도우11 설정 앱을 열어줍니다. 그 다음으로 왼쪽에 있는 메뉴 중에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를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메뉴를 클릭했다면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해 줍니다. 모바일 핫스팟에서 각종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서론 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면 엔비디아의 지포스 익스피리언스(Gefoce Experience)를 이용하면 손쉽게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때, 드라이버 꼬이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이전에 설치된 드라이버를 완전히 지우고 다시 설치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새로 설치 수행" 옵션을 사용하면 이전에 설치된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깔끔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다운로드 우선은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사용자 지정 설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으면 "빠른 설치"와 "사용자 지정 설치" 메뉴가 생깁니다. 여기서 사용자 지정 설치를 클릭해줍니다. ..
큰 모니터와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 커서가 어디에 있는지 한참을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11에서 마우스 커서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윈도우11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10도 설정하는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따라 하면 마우스 커서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의 설정 앱 실행 먼저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검색하여 설정 앱을 실행하거나 단축키 Win + I 를 입력하여 설정 앱을 실행해 줍니다. 설정 앱을 실행하였다면 좌측에 접근성 항목을 클릭해 줍니다. 접근성 메뉴 이동 접근성을 클릭하였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접근성에서 시각 - 마우스 포인터 및 터치를 클릭합니다. 마우스 커서 크기 변경 마우스 포인터 및 터치 ..
인터넷 익스플로러 11 이 윈도우 10 에서 2022년 6월 15일에 지원이 종료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엣지(Edge) 브라우저에서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모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엣지 브라우저 설정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엣지 브라우저의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엣지를 실행한 후에 우측 상단에 점 3개 메뉴를 클릭한 후에 팝업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 페이지를 열어줍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에 기본 브라우저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사이트를 Internet Explorer 모드로 다시 로드할 수 있습니다." 항목에서 기본값을 허용으로 변경해줍니다. 허용을 클릭하여 값을 변경해 줍니다. 허용으로 변경하면 브..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11의 시작메뉴 위치를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윈도우11을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를 하면 기본 시작메뉴가 가운데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기존 윈도우에서 계속 시작메뉴를 왼쪽에서 선택했기 때문에 윈도우11의 새로운 시작메뉴 위치는 익숙하지가 않아서 불편합니다. 이 시작메뉴를 왼쪽으로 옮겨봅시다. 우선 윈도우11의 설정 앱을 열어 개인 설정 - 작업 표시줄 항목을 클릭해 줍니다. 그 다음 작업 표시줄 동작 메뉴를 클릭하여 세부 항목을 엽니다. 작업 표시줄 정렬 메뉴를 보면 가운데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클릭하여 가운데를 왼쪽으로 설정해 줍니다. 위와 같이 가운데에서 왼쪽으로 옵션을 변경해주면 시작 메뉴가 왼쪽으로 이동됩니다. 이제 시작메뉴를 이전 윈도우10과 같이 왼쪽에서 사용할 ..
요즘 윈도우11로 업데이트해서 사용 중인데 윈도우의 기본앱(설정 앱, 스토어 앱 등) 실행 중에 다른 창이 띄워지면 앱의 배경색이 바뀌는 현상이 있습니다. 다음의 사진을 보면. 설정 앱을 보면 더욱 더 확연히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앱을 띄어놓고 다른 창을 선택하면 위 사진처럼 화이트 밸런스가 변하는 것처럼 색이 변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그런가 보다하고 넘겼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색이 변하는게 눈에 거슬려서 해결법을 찾기로 하였습니다. 해결법은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먼저 설정 앱을 실행한 후에 개인 설정 - 색 항목을 선택합니다. 색 설정에서 투명 효과를 켬 상태에서 꺼짐 상태로 변경해 줍니다. 투명 효과를 끄게 되면 더이상 다른 창을 띄웠을 때 윈도우 앱의 색상이 더 이상..
최근 노트북으로 4K 모니터를 하나로 추가로 연결하여 듀얼모니터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유튜브나 트위치같이 동영상을 재생하면 프레임이 드랍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사용환경은 다음과 같다. CPU: i7 9750H GPU: 내장 UHD 630, 외장 RTX2060 모니터: 내장그래픽 - FHD, 144Hz(노트북 내장모니터), 외장그래픽 - 4K, 60Hz 모니터 디스플레이 모드: 디스플레이 확장 위의 구성으로 사용하는데 크롬으로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4K 해상도 출력 및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는 사양인데 크롬으로만 동영상 재생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였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노트북의 내장모니터로 동영상을 재생하면 동영상이 끊기지 않고 부드럽게 재생되고 외장그래픽으로 연..
게이밍 노트북과 같이 성능이 높은 노트북같은 경우에는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이 모두 탑재되어 있고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위하여 그래픽 사용이 적은 프로그램은 CPU의 내장그래픽으로, 반대로 그래픽 사용이 많은 프로그램(게임, 3D프로그램 등)의 경우 외장그래픽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을 같이 사용하는 기술을 옵티머스라고 부르며 대부분의 게이밍 노트북은 이런 옵티머스 방식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옵티머스 기능이 들어간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내장그래픽을 거쳐서 노트북 화면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일부 노트북을 제외하고는 옵티머스 기능을 해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옵티머스 기능을 완전히 해제할 수는 없어도 개별적으로 프로그램 마다 어떤 그래픽을 사용할지 정할 수 있습니다. ..
얼마전에 크롬을 사용하면서 가끔씩 오류가 났습니다. 크롬을 사용시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하고 지웠다가 다시입력하려면 노란색으로 글씨 배경이 칠해지면서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지웠던 글씨가 나오면서 마치 자동완성처럼 지워도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다시 나오는 오류가 생겼습니다. 이런식으로 검색창에 검색하려고 해도 자동완성때문에 제대로 검색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크롬을 종료하고 다시키면 다시 돌아오긴 하지만 가끔씩 저 오류가 걸릴 때도 있어서 크롬의 개인정보랑 기록도 다 지워봐도 얼마지나지 않아 또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그렇게 사용하다가 가만히 보니까 오류가 한글입력기가 한컴입력기 일 때만 이런오류가 발생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한컴입력기에서 Microsoft 입력기로 바꾸니 바로 입력 오류가 사라..
저번에 기계식 키보드를 구입해 사용중인데 이 전에 쓰던 키보드와 레이아웃이 달라서 한영키가 먹히지 않습니다. 구매한 필립스 G614 LED 기계식 키보드는 우측 ALT키가 한영 변환 키 대용으로 사용하고 우측 Ctrl 키를 한자키로 쓰기 때문에 우측 Alt 키를 눌렀는데도 한영변환이 안되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보면 우측ALT 키와 우측 Ctrl에 한영, 한자키가 적혀있습니다. 키보드 배열에 대해 잠깐 설명하자면 101키는 좌우에 윈도우 키도 없고 마우스 우클릭과 같은 기능을하는 컨텍스트 키가 없는 키보드를 말합니다. 103키는 101키에 한영 키와 한자 키를 추가한 키보드를 말하며 104키는 스페이스 바 기준 좌울 윈도우 키 2개를 넣고 컨텍스트 키를 추가한 배열입니다. 위의 사진인 필립스 G614..
미러리스나 DSLR과 같은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면 RAW 파일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RAW 파일이란 한글로 번역하면 원래 그대로의, 날 것의 라는 뜻이 있는데 카메라가 사진을 찍으면 사진의 빛 정보를 손실압축을 하지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카메라마다 RAW 파일의 확장자가 다른데 현재 쓰고 있는 삼성의 NX500 같은 경우에는 RAW 파일의 확장자가 SRW입니다. 그래서 카메라를 사용하면 화질을 중요시한다면 대부분 RAW 파일 포맷을 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RAW파일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위 사진처럼 RAW 파일을 열 수도 없고 썸네일도 나오지 않습니다. RAW파일을 열어도 사진이 열리지 않는데 이번 윈도우10 1903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면서 윈도우10에서도 R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