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인텔과 관련한 프로그랜들이 말썽이네요. 저번에는 DSAService가 말썽이더니 이번에는 Intel(R) System Usage Report 라는 프로세스가 또 말썽입니다. 작업관리자에서 나타나는 Intel(R) System Usage Report 프로세스입니다. 지금은 CPU 자원을 별로 쓰고 있지않지만 갑자기 CPU 점유율을 잡아먹을 때가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또 무엇인가하니 Intel(R) Computing Improvement Program 라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Intel(R) Computing Improvement Program 삭제하기 프로그램 제거는 윈도우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에서 삭제하거나 윈도우 설정 - 앱 - 설치된 앱에서 제거..
요즘은 윈도우를 새로설치하면 파일 정렬을 하게되면 정렬 후 또다시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바뀌었더군요. 기본값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오늘, 어제, 이번주, 저번주 초, 지난 달, 올해 초, 오래전 이런식으로 범주를 가지고 정렬을 다시 하게되는데 이게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게 사용자가 직접 만든 파일들은 날짜별로 정리되서 괜찮은데 인터넷이나 USB 등으로 외부 환경에 파일을 받으면, 수정한 날짜가 제각각이라서 다운로드 폴더와 같은 곳에서는 이 정렬기능 때문에 엉망진창으로 정렬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날짜별로 분류하는 것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일 탐색기 분류 방법 해제위 사진을 보면 다운로드 폴더를 보면 크기 순으로 정렬을 해도 날짜별로 또 분류가 ..
예전부터인가 게임이나 부하가 높은 작업을 할 때, 가끔씩 렉이 걸리는 현상이 종종 있었습니다. 그 때는 별로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는데 최근에 들어서 이런 버벅거리는 현상이 훨씬 심해져서 왜 이런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듀얼 모니터로 게임을 실행하고 렉이 걸리는 순간에 작업관리자를 보니 DSAService 라는 프로세스가 높은 CPU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이 보였습니다. DSAService가 뭔지 확인해보니 인텔에서 제공하는 자동으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Intel Driver & Support Assistant 와 관련된 프로세스 였습니다. 인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나 무선랜, 블루투스 드라이버 등 인텔 관련 드라이버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꽤나 유용하게 사용했던 프로그램인데 버..
윈도우10에서부터는 윈도우 샌드박스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가상머신인데 이 가상머신에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어서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윈도우안에서 또 윈도우를 실행이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윈도우 샌드박스를 잘 이용하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이기 때문에 샌드박스에서 실행하거나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은 실 윈도우에 영향을 줄 수가 없습니다. 이런 점을 활용하면 의심되는 파일이나 바이러스로 보이는 프로그램같은 건 샌드박스에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윈도우 샌드박스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먼저 설정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 샌드박스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활성화해야지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하드디스크나 외장하드, USB 등 저장장치를 연결하면 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브 문자가 지정됩니다.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 이런식으로 문자가 할당됩니다. 그런데 외장하드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기존 외장하드는 드라이브 문자가 D로 설정되어 있었는데, 어느순간 외장하드가 F드라이브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윈도우 드라이브 문자 변경하기 윈도우 하단에 있는 시작 메뉴 우클릭을 하면 위와같이 메뉴가 나옵니다. 시작메뉴 우클릭 - 디스크 관리를 클릭해 줍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실행(단축키 Win + R)에서 dismgmt.msc 를 입력하면 됩니다. 디스크 관리를 클릭하면 디스크 관리 창이 나타납니다. 드라이브 문자 ..
옜날에는 드라이버를 설치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설치를 했어야 했습니다. 요즘은 윈도우에서 업데이트를 누르면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대부분 설치해주어서 편리해졌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드라어버도 업데이트해줘서 편리하기는한데 문제는 사용자가 직접 최신 드라이버를 업데이트를 해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드라이버를 다시 예전 버전으로 설치해 버립니다. 특히 인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를 직접 최신버전으로 설치한 다음에 윈도우 업데이트를 실행하면 윈도우 업데이트가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를 구버전으로 다시 설치하게 되는데 이게 계속 반복되니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물론 윈도우 업데이트도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가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되기는 하는데 그 주기가 매우느립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최신..
노트북을 사용 중인데 노트북으로 여러개의 모니터(듀얼 모니터, 트리플 모니터 등)를 연결하고 크롬으로 유튜브나 트위치를 시청하면 동영상 끊김이나 프레임 드랍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증상을 설명해 보자면 크롬에서 유튜브를 재생하면, 특히 고해상도의 영상들(4K 등) 전체화면으로 보면 처음에는 동영상 싱크가 맞다가 점점 틀어지더니 버퍼링이 걸린 후 다시 싱크가 맞아지는데 이게 주기적으로 반복이 됩니다. 다음으로 크롬에서 트위치를 보면 뭔가 미묘하게 프레임이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데 표시되는 프레임은 60프레임인데 실제로 모니터로 보면 40~50프레임을 왔다갔다 하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크롬 창을 일정 크기로 줄이면 이런 프레임 드랍이 사라지면서 부드러운 60프레임으로 재생이 됩니다. 노트북의 디스플레이만 ..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인 명령 프롬프트(CMD), 파워쉘(PowerShell) 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끔씩만 사용한다면 큰 불편함이 없겠지만 자주 사용한다면 불편한게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명령어 복사 붙여넣기가 번거롭거나 여러개를 띄우면 보기불편하다는가 하는 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프로그램이 바로 Windwos 터미널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10에서는 별도로 설치해야 했었는데 윈도우11에서는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었습니다. Get Windows Terminal from the Microsoft Store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과 같은 명령 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의 빠르고 효율적이며 강력한 생산성의 터미널 응용 프로..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드라이브 저장공간이 부족해지는 일이 많습니다. 이 때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쓸모없는 파일이나 폴더를 지우곤하죠. 대용량 파일들을 확인하기위해 윈도우에서 확인하려고 크기순으로 정렬을 하면 파일만 크기순으로 정렬되고 폴더는 크기순으로 정렬되지 않어서 파일들을 정리할 때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해줄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TreeSize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TreeSize는 드라이브를 스캔하여 폴더가 차지하는 용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게다가 파일 용량도 쉽게 확인이 가능해서 불필요한 파일들을 지우거나 정리할 때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설치 TreeSize는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
저번에 기계식 키보드를 구입해 사용중인데 이 전에 쓰던 키보드와 레이아웃이 달라서 한영키가 먹히지 않습니다. 구매한 필립스 G614 LED 기계식 키보드는 우측 ALT키가 한영 변환 키 대용으로 사용하고 우측 Ctrl 키를 한자키로 쓰기 때문에 우측 Alt 키를 눌렀는데도 한영변환이 안되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보면 우측ALT 키와 우측 Ctrl에 한영, 한자키가 적혀있습니다. 키보드 배열에 대해 잠깐 설명하자면 101키는 좌우에 윈도우 키도 없고 마우스 우클릭과 같은 기능을하는 컨텍스트 키가 없는 키보드를 말합니다. 103키는 101키에 한영 키와 한자 키를 추가한 키보드를 말하며 104키는 스페이스 바 기준 좌울 윈도우 키 2개를 넣고 컨텍스트 키를 추가한 배열입니다. 위의 사진인 필립스 G614..
지난번에 디스크 정리를 통한 Windows.old 폴더를 삭제하는 방법을 올린적이 있습니다. Windows.old 폴더를 삭제해보자! 저번에 올린 방법은 디스크 정리를 이용해서 Windows.old 폴더를 제거하는 방법이였는데 이번에는 윈도우10의 설정을 이용해서 더 쉽게 지우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윈도우10에서 저번에 설명한 방법보다 보다 더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정에서 Windows.old 폴더 손쉽게 삭제하기 윈도우10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단축키 윈도우 키 + I)설정화면에서 시스템을 클릭합니다. 좌측 탭에서 저장 공간을 클릭해줍니다. Windows.old 폴더가 있는 드라이브를 클릭해 줍니다. 보통 C드라이브에 W..
이전 윈도우 7에서도 조금 복잡한 방법으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 장착되어 있던 무선랜카드를 활용해서 와이파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윈도우 10에서는 보다 쉽게 무선랜카드를 이용해서 자신만의 와이파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생겼습니다. 바로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항목을 통해 손쉽게 무선인터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 컴퓨터(노트북)로 와이파이 만들기 단축키 윈도우 키 + I 를 눌러 설정에 들어가거나 시작메뉴를 통해 설정 창을 열어줍시다. 설정 창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항목을 클릭하여 들어가 줍니다. 컴퓨터나 노트북에 무선랜카드가 장착이 되어 있다면 네트워크 및 인터넷 항목에 모바일 핫스팟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모바일 핫스팟을 클릭해 줍니다. 와이파이를 만들기 위해 모바일 핫스팟을 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