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사운드 장치를 사용하다보면 장치 이름앞에 숫자(1-, 2-, 3-)가 붙어서 장치이름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USB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헤드셋, 사운드카드,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등에서 이런 숫자가 붙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동일 장치를 다른 USB 포트에 연결하면 동일한 이름의 다른장치로 인식해서 중복을 피하기위해 앞에 숫자를 붙이게 됩니다. 아무튼 이런 숫자가 붙는게 불편하다면 장치 관리자를 통해 숫자를 없앨 수 있습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드라이버 삭제하기우선 장치 관리자 화면에서 사운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목록을 눌러 펼쳐줍니다. 그러면 장치목록이 나오는데 기본 상태에서는 현재 연결된 장치 목록만 나옵니다. 장치 관리자 창에서 상단에 보기(V) - 숨겨진 장치..
일단 결론만 말하자면 특정모니터 DP 연결시 화면이 먹통이 되는 문제는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572.60에서 발생하는 버그입니다. 어느 날, 컴퓨터를 켜보니 화면이 안나옵니다. 노트북에 모니터 2개를 연결해서 노트북 화면은 비활성화하고 듀얼모니터로 사용하고 있는데 부팅 중일 때는 화면이 잘나오다가 윈도우 부팅 후 로그인 화면에서 화면이 안나옵니다. 자세하게는 한쪽 모니터는 신호없음, 다른 모니터는 신호가 들어오나 검은화면만 나오는 현상입니다. 두 모니터 다 DP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DP케이블도 바꾸어보고 윈도우 업데이트도 제거해보고 그래픽 드라이버도 재설치해보고, DP 버전도 바꿔보고 프리싱크도 꺼보고 해볼건 다해보았는데 여전히 한쪽은 신호없음, 한쪽은 검은화면만 나왔습니다. ..
요즘 배그를 하는데 렉이 너무 걸립니다. 2017년에 나온 게임인데 패치를 할수록 사양이 올라가서 이제는 요즘 나오는 CPU로는 배그를 돌리기 힘들어졌습니다. 최적화가 참 좋지않은 게임입니다. 배그 플레이시 CPU 사용률 100%가 되고, GPU 사용률은 50~60%를 왔다갔다거리는데 조작을 해보면 뚝뚝 끊기는 느낌이 납니다. 특히 조준하는 순간에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합니다. 사람이 많이 있는 곳은 최적화가 별로라서 끊기는건 이해하겠는데 사녹같은 좁은 맵에서도 뚝뚝 끊기는 스터터링이 발생하니 게임할 맛이 안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옵션을 살펴보고 만져보면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를 활성화하니 스터터링도 거의 사라지고 프레임도 올라갔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저지연 모드는 다음과 같이..
쿠팡에서 판매 중인 하이파이맨의 HE400SE 평판형 헤드폰을 구입해보았습니다. 일명 헤사세라고 불리는 헤드폰인데 쿠팡에서 판매 중인데 쿠폰을 쓰면 5만원대로 구할 수 있는 평판형 헤드폰입니다. 구매하게된 계기는 역시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이 가격에 이 정도의 음질을 가진 평판형 헤드폰이 말이안된다는 소리를 듣고 호기심에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이 헤사세라고 불리는 HE400SE 평판형 헤드폰을 제대로 된 음질로 들을려면 별도의 헤드폰 앰프와 4.4mm 밸런스드 케이블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일단은 앰프 없이 구매해 보았습니다. 박스 개봉쿠팡에서 로켓직구로 구매한거라 로켓직구 박스에 담겨져서 오네요. 로켓직구 박스를 뜯으니 헤사세가 들어있는 박스가 있습니다. 박스에 뭐가 많이 붙어있습니다. 파손주의 스티커..
이제는 유명한 게임 플랫폼인 스팀. 요즘 게임들은 스팀으로 출시해서 대부분은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됩니다.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되면 게임내에 스팀 오버레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기본적으로 스팀 오버레이는 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스팀을 통해 실행된 게임은 키보드 Shift + Tab 키를 누르게 되면 스팀 오버레이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위 사진은 실제로 게임에서 Shift + Tab 키를 눌러서 스팀오버레이를 표시한 사진입니다. 이러한 스팀 오버레이를 사용하면 굳이 바탕화면에 나가지 않고 여러가지 스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되어서 편리합니다. 예시로 FPS 표시라든가, 게임패드 설정변경, 친구목록 확인, 도전과제, 창작마당, 게임 녹화 등 스팀 기능을 게임 내에..
일명 총알잭이라고 불리는 어댑터입니다. 3.5mm 오디오 단자를 6.35mm 단자로 변환해주는 어댑터입니다. 인치로는 1/8"(3.5mm)를 1/4"(6.35mm)가 바꿔주게 됩니다. 아무튼, 예전에 알리에서 샀던건데 계속 사용해서 그런지 조금만 움직여도 접촉불량으로 헤드폰에서 소리가 안나오고 이제는 한쪽에만 소리가 들려서 수리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수리를 하려면 저 총알잭 어댑터를 분리해야 하는데 저 같은 경우에는 팬치 2개를 써서 분해했습니다. 펜치하나로 아래 단자부분을 잡고, 다른 하나는 오돌토돌하게 나있는 윗부분을 잡고 돌리면 분해가 됩니다. 지금 같은 경우에는 펜치로 분해했지만 분해를 하고보니 윗부분을 아래로 내리면 구조상 분해가 될 것 같네요. 펜치를 이용해서 분해하면 윗부분의 마개가 빠집..
시놀로지 나스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설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대부분은 웹으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하지만 일부 설정같은 경우에는 SSH로 접속하여 설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시놀로지의 경우 SSH 접속이 보안을 위해 기본설정은 차단되어 있기때문에 SSH 접속을 위해서는 먼저 SSH 접속을 허용해야 합니다. SSH 활성화 방법은 간단합니다. 늘 하던대로, 인터넷 브라우저로 시놀로지 나스 DSM 페이지로 접속해 제어판을 열어줍니다. 여기서 터미널 및 SNMP 항목을 클릭해줍니다. 들어가면 SSH 서비스 활성화 항목이 있습니다. 체크박스를 클릭하여 활성화 후에 적용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적용합니다. 이제 터미널같은 프로그램으로 SSH로 접속하면 접속이 잘 되는 것을 확인..
시놀로지는 NAS(Network Attached Server)로 유명한데요. 요즘에는 휴대폰, 태블릿같은 모바일 시장이 커지면서 나스의 수요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나스의 장점인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어디서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게 장점인데 이번 글에서는 시놀로지 나스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인 FTP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놀로지 FTP 설정하기우선 크롬과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로 나스의 주소를 입력하여 시놀로지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거기서 제어판을 클릭하고 파일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파일 서비스에 진입하면 상단에 FTP 탭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FTP 설정으로 들어가준 다음에 FTP 서비스 활성화(암호화 없음) 체크박스를 체크하여 활성화 해주면 됩니다. 또한 여기서 ..
윈도우의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말 그대로 무선으로 화면을 전송하는 기능인데 미라캐스트라고 불립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보면 화면 미러링, 캐스팅이라고 있는게 바로 미라캐스트입니다. 이런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이 있어도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거의 쓸모없는 기능이였는데 최근에 빔프로젝터를 구매하면서 보니까 윈도우에 미라캐스트 기능인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옵션으로 연결이 가능하더라고요. 윈도우에서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10이나 11도 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11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하기윈도우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쪽에 무선 디스플레이에 연결 항목이 있습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해줍니..
오늘은 윈도우의 시간이 맞지 않을 때, NTP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우선 NTP란 Network Time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장비의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무튼 이러한 NTP 서버는 정확한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을 동기화하게 되면 정확하게 시계를 맞출 수 있게 됩니다. 당연히 서버를 통해 동기화하는 방식이기 떄문에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윈도우 시간 동기화 하기윈도우11의 경우 설정 앱 - 시간 및 언어 - 날짜 및 시간 순서대로 들어가줍니다. 날짜 및 시간에 들어가면 밑에 추가 설정에 지금 동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왼쪽에 쓰여있듯, time.windows.com 서버..
오늘 윈도우11로 업데이트했더니 오른쪽 밑에 있는 작업표시줄 시계가 이상하게 표시가 되었습니다. 위 사진처럼 시계가 기존에는 오전/오후 표시, 연도도 표시되었는데 윈도우11을 업데이트하니 저런식이 바뀌었습니다. 계속 시계를 보다보니 불편해서 찾아보니 다행히 윈도우 설정에 예전처럼 바꾸는 옵션이 존재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시간 및 언어 설정윈도우11 설정 - 시간 및 언어에서 날짜 및 시간을 클릭합니다. 날짜 및 시간 메뉴에 보볌 시스템 트레이에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켜고 끄는 옵션처럼 보이지만 오른쪽에 잘보면 화살표가 있습니다. 사실 이 메뉴는 접혀있는 메뉴입니다. 클릭해서 메뉴를 펼쳐줍니다. 메뉴를 펼치면 약식 시간 및 날짜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클..
NAS를 사용하다보면 FTP, WEBDAV를 이용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파일을 탐색하게 되는데요. 특히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NAS에 저장하고 외부에서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동영상의 경우 팟플레이어로 보는게 깔끔하고 자막도 잘지원해서 이걸로 보고 싶은데요. 팟플레이어에서는 FTP, WebDAV, HTTP 프로토콜 연결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FTP, WebDAV,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면 팟플레이어로 쉽게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우선 팟플레이어의 재생목록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측하단에 재생목록 메뉴가 있습니다. 누르면 옆으로 재생목록이 나타납니다. 재생목록 위쪽에 +새 앨범 이라고 적혀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눌러서 새 앨범을 만들어줍니다. 아니면 재생목록에 마우스 우클릭 - 앨..
AMD 에서는 프리싱크라고 불리고 엔비디아에서는 지싱크 호환이라고 불리는 적응형 동기화가 있는데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일부 모니터에서 호환성 문제가 있는지 지싱크 호환을 활성화 하면 검은화면이 나오는 증상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바탕화면은 정상적으로 나오나 게임과 같이 프리싱크가 적용된 게임을 실행시 간헐적으로 화면이 깜박이거나 검은 화면만 나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사율을 직접 조금씩 바꾸어 주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주사율 변경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해상도 변경 화면에서 사용자 정의(M)...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정의 해상도 만들기(C)... 를 클릭합니다. 타이밍 설정에서 자동을 수동으로 변경해 줍니다. 재생빈도를 조금씩 낮춰줍니다. 0.005Hz 단위로 주사율을..
윈도우의 돌비 액세스 앱을 아시나요? 윈도우에서 헤드폰 사용시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을 적용시켜 스테레오 헤드폰에서 공간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앱입니다. 헤드폰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료로 결제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2020년도에 결제해서 가끔씩 사용하는데 이어폰이나 헤드폰 사용할 때, 설정하면 나름 괜찮은 것 같더라고요. 활성화하면 노멀라이즈도 되는지 작은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Dolby Access 설치https://apps.microsoft.com/detail/9n0866fs04w8?hl=ko-KR&gl=KR Dolby Access - Windows에서 무료 다운로드 및 설치 | Microsoft StoreDolby Access를 다운로드하여 헤드폰용 Dolby Atmos 무료 체험..
컴퓨터, 특히 데스크탑 중에서도 조립PC를 사용하고 있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야할 때가 있습니다. 주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때인데요. 뭐 요즘은 윈도우가 대부분 자동으로 설치해줘서 문제가 없지만 가끔씩 수동으로 설치해줘야 할 때가 있습니다. 메인보드에는 내장랜카드, 칩셋드라이버, 내장사운드드라이버 등등 메인보드에 탑재된 칩들의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 제조사와 모델명이 필요합니다. 컴퓨터를 직접 조립했으면 자신이 사용 중인 메인보드를 잘 알겠지만 조립 컴퓨터를 완본체 형태로 구매해서 사용 중이면 메인보드 명을 모를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를 분해하지 않고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윈도우 시스템 정보시작메뉴..
한컴오피스의 한글에서 표의 셀안에서 글자를 입력하다보면 표의 테두리와 글자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입력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첫번째 행의 글자와 표 테두리 사이의 간격은 꽤나 넓어보이는데 2번째 행과 3번째 행은 테두리와 글자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습니다. 글자뿐만 아니라 글자로 취급한 이미지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간격이 제멋대로라서 깔끔하지 못하고 보는데 불편한 느낌이 들고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이 셀과 글자사이의 간격이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따라하면 됩니다. 모든 셀의 안 여백 설정하기 표 테투리를 클릭해서 표를 선택한다음 우클릭 - 개체 속성을 클릭합니다. 아니면 표 테두리 클릭 후에 표를 두번 클릭하면 바로 개체 속성으로 들어가집니다. 개체 ..
음성 채팅으로 순식간에 유명해진 프로그램인 디스코드(Discord), 그런데 디스코드가 업데이트가 된 후에 실행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디스코드를 실행하면 위 사진처럼 로딩이 되면서 실행이 되다가 디스코드가 바로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재설치도 해보고 임시파일도 지워보고 했는데 실행이 안되서 뭐가 문제인가하고 한참을 해맸는데 의외로 해결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바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주면 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려면 바로가기나 실행파일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해주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이 됩니다. 만약에 다음에도 관리작 권한으로 계속 실행하고 싶다면 파일 우클릭 - 속성을 클릭한 다음에 속성 창에서 호환성을 클릭한 후에 "관리자 권한으로 이 프로그램 실행" 체..
윈도우10, 윈도우11에는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옵션이라는게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그래픽카드의 RAM인 VRAM을 GPU가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기존에는 CPU 연산을 처리하고 GPU에 일을 주는 방식인데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옵션은 VRAM과 작업을 GPU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옵션은 CPU가 바빠서 GPU에 명령을 내리지 못해도 GPU가 스스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기때문에 프레임이 늘어날 수 있고 병목현상으로 GPU 사용률이 줄어들어 인풋렉 증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특정 게임이나 프로그램은 이 옵션때문에 스터터링이 걸리거나 오히려 프레임이 안나오는 등의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
로지텍 G HUB 라는 프로그램은 로지텍의 게이밍 기어를 손쉽게 설정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G102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가끔씩 마우스를 빠르게 여려번 클릭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광클릭 매크로, 오토마우스, 무한클릭 등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 기능을 G HUB를 이용해 무한 클릭 매크로를 설정해 봅시다.. 기본 매크로 설정 G HUB를 실행시키면 현재 컴퓨터와 연결된 장비 목록이 나타납니다. 좌측 메뉴에 할당 - 매크로 - 새 매크로 만들기 순서로 클릭해 줍니다. 원하는 매크로 이름을 지정해주고 매크로 방식을 지정해 줍니다. 누르고 있는 동안 반복이나 설정/해제 중에 선택해 줍니다. 누르고 있는 동안 반복은 말그대로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지정된 매크로를 반복해서 실..
윈도우10에서부터는 윈도우 샌드박스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가상머신인데 이 가상머신에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어서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윈도우안에서 또 윈도우를 실행이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윈도우 샌드박스를 잘 이용하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이기 때문에 샌드박스에서 실행하거나 설치하는 프로그램들은 실 윈도우에 영향을 줄 수가 없습니다. 이런 점을 활용하면 의심되는 파일이나 바이러스로 보이는 프로그램같은 건 샌드박스에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윈도우 샌드박스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먼저 설정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 샌드박스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활성화해야지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윈도우에서는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 원인을 어느정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란 일종의 로그 보관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윈도우 실행 중 발생한 각종 이벤트들을 보관하는데 이걸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 실행시작메뉴에 이벤트 뷰어라고 검색하면 이벤트 뷰어를 볼 수 있습니다. 또는 Win + R 키를 누른 후 실행 창에서 "eventvwr"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각종 로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실행하면 로딩이 한 20초 정도 걸립니다. 좌측에 Windows 로그 - 시스템을 클릭하면 윈도우에서 ..
테어링(Tearing)이라고 불리는 화면 찢김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여러가지 기술적 방법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엔비디아에서는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AMD에서는 프리싱크(FreeSync)라고 불리는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적응형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단 어댑티브 싱크가 무엇인가인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기존 모니터에는 주사율이 고정되어 있어서 주사율에 맞게 화면을 새로 업데이트해야만 합니다. 만약에 주사율이 60Hz라면 1/60초 마다 항상 새로운 화면을 모니터에 뿌려줘야 하는거죠.여기에 그래픽카드에서 보내는 신호가 60프레임보다 낮거나 많아지게 되면 모니터가 화면을 갱신하는 타이밍(동기화)이 잘 맞지 않아 화면 찢김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게임이나 동영상을 플레이할 때, 어두운 부분의 화면이 잘보이지 않은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어두운 부분이 잘 보이지 않아서 밝게 보고 싶다면 감마 값을 조절하면 됩니다. 모니터에서도 감마 값을 조절할 수 있지만 모니터에서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이고, 만약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손쉽게 감마 값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NVIDIA 제어판NVIDIA 제어판에 들어가는 방법은 바탕화면에 마우스 우클릭 후 나오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NVIDIA 제어판을 클릭하면 됩니다. 또다른 방법은 시작메뉴에서 NVIDIA Control Panel 을 검색하여 실행하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화면이 나타나면 왼쪽에 "바탕화면 컬러 조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바..
윈도우에는 마우스에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윈도우7에서도 이 옵션이 존재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이 옵션이 무슨 옵션이냐면,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는 우리가 설정한 DPI 수치만큼 움직입니다. 그런데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켜져있으면 마우스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움직일 때 가속도에 따라 마우스 커서 이동거리를 늘려버립니다.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인데 실제로 마우스를 잡고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때,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움직인거랑 순간적으로 빠르게 마우스를 잡고 이동한 거랑 마우스 커서 위치를 비교하면 순간적으로 이동했을 때가 마우스 커서가 더 멀리 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FPS와 같이 에임이 중요한 게임같은 경우에는 마우스 가속에 따라 이동거리가 달..
윈도우10에서는 작업표시줄 시계를 클릭하면 달력과 함께 시계에 초가 표시되어서 유용하게 썼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표시되지 않더라고요. 윈도우10을 쓸 때는 초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했는데 윈도우11에서는 초를 못보니까 은근히 불편합니다. 특히 수강신청이나 인터넷 예매같은 1초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초 표시가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위 사진처럼 윈도우10에서는 저렇게 시계를 눌러서 시, 분, 초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윈도우11로 올라오면서 초가 더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윈도우11 초기빌드에서는 초 표시 옵션이 없었지만 윈도우11이 업데이트되면서 초 표시 옵션이 생겼습니다. 기존 윈도우10 처럼 달력에서 표시되는게 아니라 작업표시줄 시계에서 상시로 초가 표시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초를 못..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모니터 주사율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요즘에는 다양한 주사율을 지원하는 모니터들이 많이 출시되어 고주사율 모니터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144Hz를 넘어서 160Hz, 240Hz, 360Hz 등 다양한 주사율을 가진 모니터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고주사율 모니터라도 설정을 제대로 하지않으면 제성능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윈도우에서 주사율 변경은 다음과 같이 하면됩니다. 윈도우11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윈도우10도 설정방법은 비슷합니다. 윈도우 설정 진입먼저 윈도우 설정 앱을 실행시켜 줍니다. (단축키: Win + I)그런다음에 설정에서 좌측에 시스템 항목을 클릭해줍니다. 시스템 항목을 클릭하면 위 사진처럼 나타납니다. 맨 첫번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