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SSH 및 기타 연결 프로그램 추천 MobaXterm(모바엑스텀) 설치 및 간단 사용법

요즘에는 윈도우에서도 SSH 연결을 지원하기전에는 SSH 연결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연결을 해야했습니다. 대표적으로 PuTTY 라는 프로그램이 있죠. 

 

이제는 윈도우 터미널에서도 기본적인 SSH 연결을 지원해서 이런 프로그램도 굳이 설치할 필요가 없어졌지만 윈도우의 경우 딱 기본적인 기능만 들어가 있습니다. PuTTY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MobaXterm은 디자인도 깔끔하고, SSH 뿐만 아니라 Telnet, Rsh, Xdmcp, RDP, VNC, FTP, SFTP, Serial, File, Shell, Browser, Mosh, Aws S3, WSL 등 다양한 프로토콜 연결을 지원합니다. 

아쉬운 점은 현재는 윈도우 버전만 지원합니다.

 

MobaXterm 홈페이지 &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mobaxterm.mobatek.net/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MobaXterm 홈페이지 링크

MobaXterm 홈페이지 화면

MobaXterm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GET MOBAXTERM NOW!" 버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에디션 차이

프리에디션과 프로페셔널 에디션 2개가 있는데 간단하게 쓸거면 무료버전도 충분히 쓸만합니다. 

 

프로그램 다운로드

압축만 풀면 바로실행가능한 포터블 버전과 프로그램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식인 인스톨러 버전 2개가 존재합니다. 

저는 간편한 포터블 버전으로 다운받았습니다. 

 

MobaXterm 간단 사용법

MobaXterm 첫화면

실행시키면 이런화면이 나옵니다. 좌측 상단에 Session(세션)을 클릭하면 다양한 프로토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세션 설정 창

세션 버튼을 클릭하면 창이 하나 뜹니다. 원하는 연결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SSH로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SSH 설정화면

SSH 클릭하고 설정화면에서 호스트 주소를 Remote host에 입력합니다. 우측에 Port(포트)도 알맞게 설정하면 끝입니다. 나머지 고급설정들도 많은데 연결만할거면 주소랑 포트만 설정하면 됩니다. 

 

SSH 접속

SSH로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이런 터미널 화면이 나타납니다. 

윈도우 SSH나 PuTTY와 다르게 좋은 점이 좌측에 원격서버의 디렉토리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하단에 시스템 모니터링도 가능합니다. 

 

하단에 모니터링에는 CPU 사용률, 램 사용률, 네트워크 사용률, 저장공간 사용률 등 다양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게 참 좋은 거 같습니다. 

 

디렉터리 창

좌측에 디렉터리를 쉽게 확인도 가능합니다. 

 

여담

이스터에그

여담이지만 MobaXterm을 켜놓고 자리를 비우거나해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위 사진처럼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펭귄이 MobaXterm 화면에서 비내리듯이 떨어집니다. 나름 보는 맛이 있네요.

 

PuTTY와 같이 기본적인 기능만 있어서 불편했다면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이 증가된 MobaXterm을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디자인도 깔끔해서 좋네요.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