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에서는 프리싱크라고 불리고 엔비디아에서는 지싱크 호환이라고 불리는 적응형 동기화가 있는데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일부 모니터에서 호환성 문제가 있는지 지싱크 호환을 활성화 하면 검은화면이 나오는 증상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바탕화면은 정상적으로 나오나 게임과 같이 프리싱크가 적용된 게임을 실행시 간헐적으로 화면이 깜박이거나 검은 화면만 나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사율을 직접 조금씩 바꾸어 주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주사율 변경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해상도 변경 화면에서 사용자 정의(M)...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정의 해상도 만들기(C)... 를 클릭합니다. 타이밍 설정에서 자동을 수동으로 변경해 줍니다. 재생빈도를 조금씩 낮춰줍니다. 0.005Hz 단위로 주사율을..
윈도우의 돌비 액세스 앱을 아시나요? 윈도우에서 헤드폰 사용시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을 적용시켜 스테레오 헤드폰에서 공간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앱입니다. 헤드폰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료로 결제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2020년도에 결제해서 가끔씩 사용하는데 이어폰이나 헤드폰 사용할 때, 설정하면 나름 괜찮은 것 같더라고요. 활성화하면 노멀라이즈도 되는지 작은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Dolby Access 설치https://apps.microsoft.com/detail/9n0866fs04w8?hl=ko-KR&gl=KR Dolby Access - Windows에서 무료 다운로드 및 설치 | Microsoft StoreDolby Access를 다운로드하여 헤드폰용 Dolby Atmos 무료 체험..
컴퓨터, 특히 데스크탑 중에서도 조립PC를 사용하고 있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야할 때가 있습니다. 주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때인데요. 뭐 요즘은 윈도우가 대부분 자동으로 설치해줘서 문제가 없지만 가끔씩 수동으로 설치해줘야 할 때가 있습니다. 메인보드에는 내장랜카드, 칩셋드라이버, 내장사운드드라이버 등등 메인보드에 탑재된 칩들의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 제조사와 모델명이 필요합니다. 컴퓨터를 직접 조립했으면 자신이 사용 중인 메인보드를 잘 알겠지만 조립 컴퓨터를 완본체 형태로 구매해서 사용 중이면 메인보드 명을 모를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를 분해하지 않고 메인보드 모델명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윈도우 시스템 정보시작메뉴..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다양한 오류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윈도우에서는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 원인을 어느정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란 일종의 로그 보관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윈도우 실행 중 발생한 각종 이벤트들을 보관하는데 이걸 이벤트 뷰어라는 프로그램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 뷰어 실행시작메뉴에 이벤트 뷰어라고 검색하면 이벤트 뷰어를 볼 수 있습니다. 또는 Win + R 키를 누른 후 실행 창에서 "eventvwr"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각종 로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실행하면 로딩이 한 20초 정도 걸립니다. 좌측에 Windows 로그 - 시스템을 클릭하면 윈도우에서 ..
게임을 하다보면 문득 나의 반응속도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반응속도 측정방법이나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간단하게 사이트 접속으로 반응속도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https://www.arealme.com/reaction-test/ko/ 반응속도 테스트 - 세계 기록 비디오 포함!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내 반응 속도를 알아보세요. 인간의 평균적 반응 속도는 250밀리초(0.25초)이며 세계 최고 기록은 120밀리초(0.12초) 입니다. 지금 바로 테스트 해보세요!www.arealme.com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반응속도 테스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테스트 사이트에 접속하면 간단한 소개문구가 있습니다. 가운데 테스트 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테스트 방법은 가능합니다. 화면 가운데에 빨..
테어링(Tearing)이라고 불리는 화면 찢김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여러가지 기술적 방법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엔비디아에서는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AMD에서는 프리싱크(FreeSync)라고 불리는 어댑티브 싱크(Adaptive Sync, 적응형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단 어댑티브 싱크가 무엇인가인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기존 모니터에는 주사율이 고정되어 있어서 주사율에 맞게 화면을 새로 업데이트해야만 합니다. 만약에 주사율이 60Hz라면 1/60초 마다 항상 새로운 화면을 모니터에 뿌려줘야 하는거죠.여기에 그래픽카드에서 보내는 신호가 60프레임보다 낮거나 많아지게 되면 모니터가 화면을 갱신하는 타이밍(동기화)이 잘 맞지 않아 화면 찢김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게임이나 동영상을 플레이할 때, 어두운 부분의 화면이 잘보이지 않은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어두운 부분이 잘 보이지 않아서 밝게 보고 싶다면 감마 값을 조절하면 됩니다. 모니터에서도 감마 값을 조절할 수 있지만 모니터에서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이고, 만약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손쉽게 감마 값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NVIDIA 제어판NVIDIA 제어판에 들어가는 방법은 바탕화면에 마우스 우클릭 후 나오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NVIDIA 제어판을 클릭하면 됩니다. 또다른 방법은 시작메뉴에서 NVIDIA Control Panel 을 검색하여 실행하면 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화면이 나타나면 왼쪽에 "바탕화면 컬러 조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한 UV 손전등이 도착했습니다. 구매한 UV 손전등은 395nm, 365nm 빛을 내는 LED 칩이 각각 들어있는 제품입니다. UV라이트를 쓸 일이 거의 없겠지만 나중에 레진 경화할 때나 언젠가 쓸 일이 있을 것 같아서 구매했습니다. 개봉기도착한 박스입니다. 작은 박스에 담겨서 왔네요. 박스 뒷면입니다. 회사정보랑 인증마크가 보입니다. 구성품은 UV 라이트, 18650 배터리, 18650 충전기, USB A to C 케이블, AAA 배터리 어댑터로 구성되어있습니다. AAA 건전지 홀더와 18650 충전기, 케이블입니다. 뒷면을 보면 충전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적혀있습니다. 18650, 14500, 26700 등등 거의 웬만한 기둥형 배터리는 호환되는 것 같네요.입력은 5V 2..
윈도우에는 마우스에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윈도우7에서도 이 옵션이 존재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이 옵션이 무슨 옵션이냐면, 우리가 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는 우리가 설정한 DPI 수치만큼 움직입니다. 그런데 포인터 정확도 향상이라는 옵션이 켜져있으면 마우스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움직일 때 가속도에 따라 마우스 커서 이동거리를 늘려버립니다.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인데 실제로 마우스를 잡고 동일한 거리를 이동했을 때,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움직인거랑 순간적으로 빠르게 마우스를 잡고 이동한 거랑 마우스 커서 위치를 비교하면 순간적으로 이동했을 때가 마우스 커서가 더 멀리 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FPS와 같이 에임이 중요한 게임같은 경우에는 마우스 가속에 따라 이동거리가 달..
유튜브에서는 영상 탐색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원하는 장면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동영상을 빠르게 넘기거나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이 썸네일 미리보기가 나름 유용한데요. 그러나 팟플레이어에서는 이 기능을 지원함에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탐색바 미리보기 설정하기먼저 팟플레이어 환경설정 창을 열어줍니다. 팟플레이어 우클릭으로 환경 설정 메뉴를 클릭하거나 단축키 F5를 누르면 환경설정 창이 뜹니다. 환경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에 재생 메뉴를 클릭한 다음, "탐색바에 마우스 위치 시 썸네일 표시" 옵션을 클릭하여 활성화 해줍니다. 그러면 팟플레이어에서도 유튜브처럼 재생바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최근에 헤사세라고 불리는 HE400se라는 헤드폰을 구매하면서 헤드폰을 거치할 거치대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알리 천원마트에서 2400원 하는 알루미늄 헤드폰 거치대를 구매했습니다. 박스 뒷면에 조립 방법이 그림으로 있습니다. 사이즈는 105X105X23mm 로 적혀있는데 이거 잘못된거 같네요. 높이가 23mm 가 아니라 230mm 입니다. cm로 환산하면 23cm 정도 됩니다. 구성품은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받침대, 기둥, 거치대로 3개 파츠로 되어있네요. 받침대는 플라스틱입니다. 받침대도 알루미늄이였으면 좋았는데 아쉬운 부분입니다.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EVA 패드 4개가 붙어 있습니다. 기둥은 알루미늄이고 속은 비어있습니다. 거치대는 헤드폰 곡률에 맞게 휘어 있습니다. 어느정도 ..
윈도우10, 윈도우11에는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옵션이라는게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그래픽카드의 RAM인 VRAM을 GPU가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기존에는 CPU 연산을 처리하고 GPU에 일을 주는 방식인데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옵션은 VRAM과 작업을 GPU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옵션은 CPU가 바빠서 GPU에 명령을 내리지 못해도 GPU가 스스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기때문에 프레임이 늘어날 수 있고 병목현상으로 GPU 사용률이 줄어들어 인풋렉 증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특정 게임이나 프로그램은 이 옵션때문에 스터터링이 걸리거나 오히려 프레임이 안나오는 등의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